9일 노벨 화학상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다나카 고이치(田中耕一)씨는 대학 졸업이 '전부'인 무명의 회사원.그에게는 노벨상 수상자에 걸맞을 법한 '박사'나 '교수' 칭호도 없다.
1983년 도호쿠(東北)대학 공학부 전기공학과를 졸업한 후 교토(京都)의 정밀기기 회사 시마즈(島津)제작소에 입사한 학사 출신의 평범한 연구원일 뿐이다. 나이도 43세에 불과하다. 물론 일본인으로는 학사 노벨상 1호다.
이색적인 다나카씨의 이런 경력은 일본 열도를 놀래키기에 충분했다. 본인 역시노벨상을 수상하리라고는 예상조차 하지 못했다.
수상자 선정 통보를 받고 회사 작업복 차림으로 기자회견에 임한 그는 좬아닌 밤중에 홍두깨좭라고 어안이 벙벙한 모습이었다.문부과학성 관계자들도 좬도대체 다나카가 누구냐좭며 부랴 부랴 수상 관련 자료를 팩스로 보내달라고 본인에게 요청했다는후문이다.
가족들도 수상자 발표 뉴스를 보고 좬동명이인이 아니냐좭고 귀를 의심했을 정도다.다나카씨는 단백질 등의 생체 고분자를 간단하게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함으로써 신약 개발의 새 지평과 암 조기진단의 가능성 등을 연 점을 평가받아 노벨상을 거머쥐었다.
그의 이런 위업은 공교롭게도 우연한 '실수'에서 태어났다. 실험중 잘못 떨어뜨린 용액에서 위대한 발견이 이루어졌다는 것이다.회사 동료에 따르면 다나카씨는 연구를 계속 하고 싶어 회사 승진 시험을 거부한 채 '주임'이라는 직책을 고집해 왔다.
주변에서는 그런 그를 앞으로는 어떤 호칭으로 불러야 마땅할지 벌써부터 고민하고 있다.한 언론은 다나카씨의 노벨상 수상에 대해 기술 입국 일본의 저력을 보여준 쾌거라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