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을 살리자-메트로폴리탄 시티(대도시)인 대구시의 경제 규모가 국제적인 위상은커녕 국내에서조차 도저히 '큰 도시'라고 하기에 민망할 정도로 초라해진 것은 이미 오래전의 일이다. 지역총생산(GRDP) 전국 꼴찌야 벌써 해묵은 사실이지만 문제는 쇠락(衰落)의 속도가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재경부 국감자료에 따르면 90년 전국에서 4.3%를 차지하던 대구의 지역내총생산 비중은 99년 3.3%로 감소한 데 이어 2000년에는3.2%까지 하락했다는 사실은 대구지역이 이제는 경제회복의 동인(動因)마저 상실한 것이 아닌가하는 강한 의문을 던져준다.
도시 인근에 이렇다할생산기반 시설이 없는 상황에서 인구 250만이 넘는 대도시가 이처럼 생산력이 떨어진다는 것은 도시 자생력 차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금융 비중을 보면 더욱 기가 찬다. 금융권 대출의 경우 99년 5.1%에서 2000년에는 4.1%로, 1년새 1%포인트나 떨어졌다니 기업 투자가 거의 마비됐다는 명백한 증거가 아닌가. 대학생수도 6.3%에서 10년만에 3.4%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으니 과거 교육 도시라는 '문화적 기반'마저 상실하고 있는 셈이다.
지금 대통령 후보들은 정부 지방이전, 대학 분산 등 지방육성책을 앞다투어 내놓고 있다. DJ정권도 초기에는 지역균형발전이 중요한 경제목표였다.그러나 그 '립 서비스'의 결과가 얼마나 허무한지는 오늘날 지방민들이 잘 알고 있다.
두말할 필요없이 지역경제활성화는 실천 의지가 관건이다. 단순한 자금 지원으로는 한계가 있다. 정보지식화 시대에 관련 인프라 없이 어떻게 경제를 회생시킨단 말인가. 지역경제를 황폐화시켜놓고 모든 기능을 독점하다시피한 수도권과 자유경쟁을 시키는 것은 지방을 우롱하는 처사다.
이제 백마디 말보다 작은 정부 기구 하나라도 지방으로 이전하는 당국의 실천력 없이는 지방의 분노를 잠재우지 못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