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품 AS 소홀 소보원 피해사례 조사

입력 2002-10-03 14:51:00

수입품을 사용하다 교환·환불, 수리 등 애프터서비스가 제대로 안돼 피해를 당하는 사례가 많아 주의가 요망된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지난 2000년부터 올해 7월말까지 수입품을 사용하다 피해를 당해 소보원에 접수한 피해구제 신청 사례 580건의 처리 내역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73%가 피해구제 처리됐다고 3일 밝혔다.

피해구제 유형은 '교환·환불'이 31.6%(183건)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수리·보수'(20.9%), '배상'(9.3%), '계약 해제·해지'(5.5%), '계약 이행'(4.3%), '부당행위 시정'(1.4%)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수입업체의 부도, 소비자의 신청 취하 등으로 인한 '기타' 사례가 13.4%, '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조정 요청'이 3.3%로 집계돼 피해구제가 쉽지 않은 사례도 있었다. 분쟁 해결과 무관한 '정보 제공'은 10.3%로 파악됐다.

피해 원인은 대부분이 교환·수리 거부 등 애프터서비스 소홀로 인한 것이었다.제품 종류별로 보면 가전은 △제품이 불법 개조됐거나 △부품을 수입, 국내에서 조립한 제품을 직수입한 완제품으로 속여 판매해 피해구제 신청이 접수된 사례가 많았고, 잡화류는 △수입업체가 재고품을 판매해 피해가 생긴 사례가 일부 있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