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사찰단 반대"
미국이 대량파괴무기 해체, 테러지원 즉각 중단 등을 요구하는 유엔 안보리의 대 이라크 결의안 채택을 압박하고 있는 가운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은 13일 이라크의 유엔 무기사찰단 수용을 위한 '이행 시한' 설정에 합의했다.
잭 스트로 영국 외무장관은 이날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 및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 외무장관들과 오찬에서 이라크 문제를 논의한 뒤 "이라크에 무기 사찰단을 복귀시킬 필요성에 대해 만장일치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상임이사국들이 이라크에 제시할 최종 시한에 대한 합의 부분에서는 아직 결론은 내지 못했다고 밝혔다.
◇안보리 결의안 채택 전망=하비에르 솔라나 유럽연합(EU) 외교정책 고위 대표는 12일 "이라크에 대한 유엔 무기사찰단의 복귀 허용을 요구하는 안보리의 결의안이 수주 이내 채택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솔라나 대표는 이날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 회담을 마친뒤 유엔 무기사찰단의 이라크 복귀 허용을 요구하는 안보리 결의안 채택 시기에 관해 "수 개월(months)이라고 말할 수 없으나 몇 주(weeks)"라고 말했다.
◇미국, 이라크 이행시한 설정=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13일 유엔이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해체를 위해 채택하는 결의안은 "수년, 수개월"이 아니라 "수일, 수주간"의 준수시한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중앙아프리카 지도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라크의 핵, 생화학무기 해체를 위한 유엔의 결의안 채택을 촉구하면서 "결의안에는 반드시 준수시한이 설정돼야하며 우리는 수개월, 수년이 아니라 수일, 수주를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콜린 파월 미국 국무장관은 13일 이바노프 러시아 외무장관과의 회담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모든 안보리 이사국들이 후세인 대통령이 국제안보에 위협을 주고 있다는 부시 대통령의 주장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바노프 장관은 이날 "후세인 대통령이 유엔 안보리에 협력하지 않는다면 이라크 정부는 추후 발생하는 결과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한다"며 미국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라크 반응=이라크는 유엔 무기사찰단 복귀가 미국의 이라크 공격계획을 막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 사찰단 복귀에 반대한다고 타리크 아지즈 이라크 부총리가 13일 밝혔다.
타리크 부총리는 사우디TV와의 인터뷰에서 "이라크는 최악의 경우에 대비하고 있으며 이라크 정부는 부시 대통령이 내건 조건들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리=서종철기자 kyo425@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