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을 살리자-대구시와 경북도내 주요 SOC사업비를 기획예산처가 최종심의에서 33% 3천800억원이나 깎아낸 7천975억원으로 결정, 사업차질·역내업체 자금난 초래 등 SOC사업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수도권 투자를 줄여 지방 SOC에 집중투자하겠다고 국회에 보고한 것이 꼭 한달전인데 벌써부터 부도 내긴가? 일주일전 건교부가 수도권 1억평 개발계획을 발표할때 우리는 그때 알아봤다. 정부는 도대체 지방의 SOC사업 하겠다는 건가 말겠다는 건가?
대표적 SOC사업인 지하철, 대구~포항간 고속도로 등 몇가지 예산의 삭감상황을 보면 이들 사업이 10년안에 끝날지 20년안에 끝날지 기가 막힐 정도다. 몇해를 미뤄 98년에 착공한 대구~포항간 68㎞고속도로 사업은 당초계획대로라면 올 연말엔 차가 달려야한다.
그러나 지금처럼 신청액의 절반수준인 연 1천100억원정도의 예산투입이라면 사실상 2010년이전 개통도 물건너갔다. 더구나 1천몇백억 정도의 사업비는 내년 상반기면 소진될게 뻔해 24개 시공업체의 자금난이 불가피하다는 것이고, 이런 것들이 지역경제에 악재로 작용한다는 것이 더 큰 문제다.
94년 이설작업을 시작한 대구선 문제도 8년동안 26㎞ 이설계획이 60%에서 답보, 완공시한인 2000년을 이미 넘겼는데 올해도 기획예산처는 407억원의 국고보조금을 전액 깎아버렸다. 최소한 광주나 영월의 경우처럼 국가사업인 철도이설에는 30% 국고보조가 있어야 하는데 대구는 지금껏 4.6% 105억원만 받았을 뿐이니 푸대접 의혹까지 들 수밖에 없다.
대구지하철 내년사업비도 당초 신청액 3천600억원이 건교부에서 1천800억원으로, 다시 예산처에서 1천500여억원으로 무려 58%나 깎였고, 특히 2호선은 요구액 2천억원이 절반도 안되는 995억원으로 줄어 2005년 개통이 거짓말이 될 참이다.
또 당초 대륙 횡단철도의 시작점이라고 난리를 쳤던 포항-삼척간 동해중부선 건설사업도 기본설계비조차 20%(40억원)로 깎여 우리노인들 당대에는 타보기 어렵게 됐다.
이 모두 정치하는 사람들이 대선·총선때 '장밋빛 공약'으로 내걸어놓고는 '찔끔예산'으로 입막음 해온 사업들인데, 사업이 뒤로 밀릴수록 공사비증가는 물론이요 각지자체와 경제계가 자금압박을 받는다는 점에서 '약속위반'의 책임이 큰 것이다.
때마침 대구·경북 국회의원들이 2주전에 모여 지역현안사업에 공동대처키로 선언까지 했다니 유권자들은 속는 셈치고 국회차원의 분발을 지켜보고자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