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연예관련 비리 이토록 깊었나

입력 2002-07-22 00:00:00

연예관련 금품비리 사건이 일부 지상파 방송 가요담당 전 PD 등의 구속에 이어 특수일간지 기자의 관련도 드러나는 등 일파 만파로 번져가고 있다. 이 와중에 연예기획사의 신인가수 앨범제작비 중 수억원이 방송사 홍보비로 책정된 문건이 공개돼 더욱 충격을 주고 있다.

우리가 개탄을 금치 못하는 것은 방송 출연을 위한 탤런트나 가수들의 뇌물 사건은 어제 오늘의 일도 아니었는데도 이런 '검은 거래 관행'이 깨지지 않고 보편 상식적인 일로 남아 있다는 점이다.

이번의 연예계 비리 사건의 경우 검찰의 인지(認知)수사로 이루어져 검찰의 수사의지를 엿보게 하는 대목이긴 하나 지금까지는 피해당사자의 고소나 고발로 불거진 것이 고작이었다. '검은 거래 관행'이나 '먹이사슬'의 구조가 공공연한 비밀이었는데도 방치하다시피한 일은 우리 사회의 비리 불감증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일부 언론에 공개된 '신인가수·앨범 제작안'은 과연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인가 경악 그 자체다. 전체 프로젝트 비율중 70%인 3억6천여만원이 앨범 홍보비로 책정돼 있고 그중 80%이상인 3억원이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사에 집중 투입하는 것으로 안이 짜여져 있어 뇌물성이 분명한 상당수 액수가 방송사 연예 담당 PD들에 전해질 수밖에 없는 개연성을 엿보게한다.

차제에 우리는 국장급 방송 PD뿐만 아니라 필요하면 윗선까지도 수사를 확대해야 한다고 본다. 상습적인 뒷거래가 있었다면 구조적인 뇌물제공, 수수체계가 없었다고는 보지않기 때문이다. 윗선의 묵시적인 동의아래 이루어졌다고는 보지않지만 방송사의 도덕성 확보차원에서도 엄격한 수사를 방송사가 먼저 요구할 사안이 아닌가 싶다.

방송계의 자정운동을 권한다. 내부문제를 자율적으로 해결해야 또다른 매를 맞지 않는다. 그렇지 않을 경우 외부 공권력 개입의 빌미를 계속 줄수 있고 이것은 언론계가 걱정하는 대목이다. 전파는 국민들의 공유자산이다. '검은 손'들이 좌지우지하면 국민들의 저항에 부딪힐 수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