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는 끝났다. 각 당과 후보들 모두 평상심으로 돌아가 그 결과에 승복하자. 이제 우리 모두 선거기간중 빚어진 오해와 갈등,불신의 김정을 깨끗이 씻어버리고 화합할 때가 된 것이다.
어떤 후보들은 이번 선거 결과에 불복, 이미 선거무효소송을 위한 물증 수집에 나섰다는 소리도 들리지만 이래서는 안된다. 웬만한 문제점은 덮어버리고 대구.경북의 빛나는 내일을 위해 마음을 다시 모으고 머리를 다시 합치자.
중앙선관위와 각 지역선관위가 10일까지 적발한 선거법위반행위는 7천454건으로 지난 98년도(1천740건)의 4배나 된다. 이처럼 적발건수가 늘어난 것은 각 구.시.군 선관위마다 50명씩 구성돼 있는 선거부정감시단이 열심히 뛴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일부 열전지역의 후보와 정당이 사활을 건 싸움을 벌인 때문일 것이다.
각 당은 이번 선거를 연말로 예정된 대선(大選) 전초전으로 활용, 소위 네거티브 선거전략을 총동원했다. 정책대결은 간곳없이 입에 담기 어려운 상대 비방과 낯부끄러운 흑색선전으로 시종했고 이 결과 지역구에 따라서는 선거후유증을 걱정할만큼 후보간의 감정이 격해진 곳도 적지 않다니 이래서야 되겠는가.지방선거는 국회의원 선거와는 달리 후보끼리는 물론 유권자와도 밀착해 있다.
아니할말로 후보집에 숟가락 몇개가 있는지도 잘 알 만큼 투명하고 친숙한 경우가 많다. 그런 터수에 선거운동에 열 받아 할 말 아니할 말 막해대고 끝내는 법정싸움까지 간다면 이게 말이나 되는가 말이다.
과거에도 선거후유증이 지역갈등으로 번진 사례가 적지 않았기에 이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다시 한번 되풀이 하거니와 후보들 모두 선거운동기간동안 맺혔던 웬만한 갈등과 감정의 응어리는 날려버리고 이제 모두 다시 화합하자. 그렇게해야 중앙정치의 중압아래 신음하고 있는 풀뿌리민주주의를 보호할 수 있다고 본다.
유권자 또한 평상심으로 돌아가 생업에 종사하며 새로 출발하는 제3기 지방자치단체 출범을 경하하자. 그리고 이들이 우리의 고향을 어떻게 이끌어가나 지켜보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