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1일 김대중 대통령과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의 가족문제에 관한 공방을 자제하면서도 누가 먼저 '휴전' 제의를 했는지를 놓고 설전을 벌였다.
한나라당 김무성 총재비서실장은 "지난 19일 저녁 여권인사로 부터 '대통령과 가족들에 대한 언급을 자제해달라'는 전화가 왔었는데 다음날 다시 민주당 부대변인이 우리 당을 공격하는 논평을 내서 여권인사에게 항의했다"고 밝혔고 권철현 대변인도 "나도 민주당 인사로부터 비슷한 전화를 받았는데 우리가 먼저 전화했다고 흘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이날 김홍일 의원 등 대통령 가족에 대한 비난 논평 등은 내지 않아 '휴전' 체제를 유지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당직자는 "우리는 공식적으로든 비공식적으로든 한나라당과 접촉한 사실이 없다"며 한나라당의 주장을 부인했다.
장전형 부대변인은 "평소 이 총재의 그림자만 밟아도 쌍심지를 켜며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였던 한나라당쪽의 태도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며 은근히 한나라당측을 겨냥했다.
이에 대해 정치권 주변에서는 누군가가 민주당과 한나라당에 가족공방 자제를 중재하면서 '상대방에서 먼저 자제하자고 했다'는 식으로 제안해 이같은 현상이 빚어졌을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편 양측이 이처럼 최고위층 공격에 주춤하게 된 것은 김 대통령과 이 총재 가족들을 겨냥한 물불 안가리기식 공세가 결국 두 진영 모두에게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남길 것을 우려한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를 두고 정치권 주변에서는 "결국 보스의 직계가족들을 보호하기 위한 담합이 아니냐"며 "이런 식으로 얼버무릴 것을 시작은 왜 했느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또 다른 한 편에서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있어 몇 차례 더 이같은 추잡한 공방이 재연될 것이라는 전망도 지배적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