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프로젝트(대구경북섬유산업육성사업)가 정부의 전폭적 지원에 힘입어 최근 인프라 구축이 완성단계에 접어들었으나 추진기간 만료시한(2003년) 이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마스트플랜 마련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섬유업계는 2003년 이후 정부 및 지자체의 지원이 중단될 경우 5년동안 6천800억원이 투입되는 밀라노프로젝트가 '용두사미'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며 향후 대책수립을 위한 '포스트(POST) 밀라노프로젝트 기획단' 구성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특히 밀라노프로젝트의 사업 연계성을 확보하고 신소재·신제품 개발을 통한 섬유산업 구조고도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
지난 99년부터 추진된 밀라노프로젝트는 11월 현재 신제품개발센터, 염색디자인실용화센터, 니트시제품공장, 섬유정보센터 등 인프라를 구축해 섬유제품 고급화 및 고부가가치화 사업과 패션디자인산업 활성화 기반구축, 기술개발 및 생산성향상 지원사업 등 전체 사업목표의 60%를 달성했다.
그러나 정부가 밀라노프로젝트 기한만료 이후 지원을 중단하면 섬유개발연구원, 패션센터 등 자립기반이 마련되지 않은 추진기관 운영문제, 산업용 섬유설비 등 차별화·고기능성 제품개발을 위한 추가 설비도입문제 등이 난관에 봉착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기존 구축된 인프라를 바탕으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R&D)투자, 섬유·패션 정보수준 제고, 전문인력 확충 등을 통해 소프트웨어 측면을 대폭 강화해야 할 중점과제도 표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 때문에 정부가 밀라노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중간점검을 통해 2003년 이후의 지원책이 강구돼 한다고 업계는 요구하고 있다.
이정인 대구·경북개발연구원 지역개발실장은 "민·관이 '포스트밀라노프로젝트기획단'을 꾸려 그동안 추진해온 밀라노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점검해야 한다"면서 "그 결과에 따라 사업을 보완·추가·전환해야 완벽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오상봉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003년 이후의 밀라노프로젝트 운용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며 "전문인력 확보, 추진기관의 재정독립 등 산적한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기 위해 장기계획을 준비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