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근로자' 700만

입력 2001-11-16 14:04:00

외환위기 이후 임시 및 일용근로자가 90만명 가까이 증가했다.노동시장의 유연성이 높아졌다는 측면도 있지만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이들의 복지가 매우 열악하다는 데 큰 문제가 있다.

통계청 조사결과 이들의 사회보험 가입 및 직장근로복지 수혜비중이 상당히 낮고 특히 일용직은 퇴직금, 상여금을 받는 사람이 1%에 불과했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임시근로자는 지난 97년 418만2천명에서 지난달 464만1천명으로, 일용근로자는 189만2천명에서 232만1천명으로 각각 증가했다.

이에 따라 10월중 임시.일용근로자는 모두 696만2천명을 기록, 외환위기가 터진97년이후 88만8천명이나 증가했다. 반면 상용근로자는 이 기간 715만1천명에서 652만5천명으로 62만6천명이 감소했다.

임시.일용근로자수는 전체 취업자수가 감소한 98년 573만3천명으로 줄었다가 99년 647만2천명, 2000년 688만9천명으로 계속 증가했다.

통계청은 "경기악화로 인한 기업의 비용절감 노력, 일자리 세분화 등으로 정규직보다는 단기일자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임시.일용직은 상용근로자에 비해 고용상태가 불안하고 사내 복지도 열악했다.

최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결과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계속근무가 가능하다고 응답한 자는 상용근로자중 99.5%였지만 임시.일용직에서는 각각 90%, 75.7%로 상용직보다 낮았다.

또한 일용근로자중 13.6%는 근로계약기간을 정하지 않고 일거리가 있을 경우에만 며칠 또는 몇주씩 일하는 일일근로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상용근로자의 90%이상이 퇴직금과 상여금을 받고 있었지만 임시근로자는 10%정도, 일용근로자는 1%에 불과했다. 또 시간외수당을 받는 임시근로자는 7.4%, 일용근로자는 2%에 그쳤다.

이밖에 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 등 사회보험 가입비중도 상용근로자는 80~90%대인데 비해 임시근로자는 20% 안팎, 일용근로자는 2, 3%에 불과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