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IOC 위원장 자크 로게(벨기에·59) 는 올림픽에 선수로 출전한 '올림피언'이자 정형외과 의사 출신으로 유럽스포츠계의 최고 실력자이다.
다른 후보들에 비해 늦은 91년 IOC 위원에 선출됐지만 의사란 깨끗한 이미지와 탁월한 리더십을 앞세워 IOC 입문 10년만에 지구촌 올림픽 운동을 이끌 IOC의 수장에 올랐다.
벨기에 요트대표선수로 3회(68-72-76년) 연속 올림픽에 출전한 그는 세계요트선수권에서 통산 금 1, 은 2개를 따냈고 국내선수권에선 16개의 금메달을 목에 걸었고 럭비국가대표로도 활약한 만능 스포츠맨.
89년 벨기에올림픽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한 그는 그해 유럽국가올림픽연합회(EOC) 회장과 IOC 위원을 거치며 사마란치의 뒤를 이을 후계 반열에 올라섰다.
직업 때문에 IOC 의무분과위원회에서 약물퇴치 운동에 앞장서 온 로게는 업무능력도 인정받아 지난해 시드니대회에 이어 2회 연속 올림픽 조정위원장을 맡고 있다.98년 솔트레이크시티 뇌물스캔들 때 IOC 개혁을 주도해 '미스터 클린(Mr·Clean)'이란 애칭을 얻었고 이러한 참신한 이미지가 이번 IOC 위원장 선거에서 그에게 승리를 안겨준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올림픽운동에 대한 그의 신념은 의사답게 스포츠의 인간성 회복을 중시하고 있다.로게는 이번 선거를 앞두고 최근 올림픽이 지나치게 상업화돼 엄청난 비용을 유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로게는 총 35개에 이르는 올림픽 경기종목을 축소시켜 참여인원을 대폭 줄이고 올림픽 개최에 따른 비용도 대폭 감소시켜 순수한 스포츠 이념을 되살리겠다는 것.
그러나 로게의 이같은 방침이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당장 퇴출위기에 놓인 국제경기단체들과 20세기 후반 거대화, 상업화의 물결속에 향응과 사치문화에 익숙한 IOC 관계자들의 반발이 거셀 것이라는 추측이다.
사마란치의 후광으로 올림픽 수장 자리에 올랐으나 5개 대륙으로부터 보편적인 지지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는 로게가 과연 상업주의의 단맛에 길들여져 있는 올림픽을 자신의 소신대로 소규모, 저비용의 순수한 아마추어축제로 되돌릴 수 있을 지 지켜볼 일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