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상대온천 지구 개발이 벌써 몇년째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그렇게 귀하던 온천이 여기저기 없는 곳 없을 만큼 흔해진 뒤 투자 희망자가 없는 것. 이대로 사양화하고 마는 것일까?
◇답답한 현실=이곳에 있는 온천호텔이 문을 열던 1982년에만 해도 온천이래야 백암·부곡이 고작이었다. 인기 몰이는 당연할 일. 그러나 20여년 지난 지금 온천 숫자는 대구 인근에만도 16개로 늘었다. 또 지금도 자꾸 개발되고 있어 얼마 안가면 시·군마다 독자적인 온천을 갖추게 될 전망.
현재의 상대온천 호텔은 1982년에 영업을 시작했다. 그리고 일대는 1990년에 '국민 관광휴양지' 조성 승인을 받았고, 지주 160여명이 조합을 결성해 7만9천여평의 구획정리를 1997년에 완료했다. 그러나 다시 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 땅 대부분은 팔리지 않고 관광 업소들도 들어서지 않은 채 잡초만 무성하다.
◇무엇이 문제일까=제일 큰 실패 원인으로 꼽히는 것은, 구획정리가 끝나 업소들이 입주해야 할 시점에 IMF 사태가 터진 것. 당시 (주)보성이 한때 투자 의사를 밝히기도 했으나 무산됐다.
하지만 이 큰 사업을 공영개발로 하지않고 지주들에게 맡긴 것 또한 큰 실패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건폐율 규정이 너무 강하게 돼 있는 것도 세번째 실패 요인으로 원망받고 있다. 숙박시설 12~18%, 상가 14~26%, 휴양시설 17~22%로 낮잡음으로써 토지 매각이 더 어려워졌다는 것.
이런 사정들에 대해 현지 관광개발 조합 이상을 전무는 "시청 재정이 어렵다며 공영개발을 기피했고, 그 이후엔 구획정리가 완료되고도 진입로 등 주변 시설조차 제대로 지원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 결과 지금은 토지 거래가 거의 끊긴 상태라는 것.
◇활로 없을까=온천호텔 배문석 상무는 "지역의 중소기업 방문 외국 바이어들이 온천을 즐겨 찾고 있는 만큼, 단순히 온천이라고만 보지 말고 지역 경제와 연계발전해야 할 과제라는 쪽으로 시정의 의식이 먼저 전환돼야 한다"고 했다.
시청 한규용 도시과장은 "건폐율 상향 조정 요청은 경북도청에 제출돼 있어 곧 40~50%로 높여질 것"이라며, 투자자 구하기가 쉽지는 않지만 대구 우방랜드처럼 가족 단위 휴양 시설로 꾸민다는 계획은 계속 추진되고 있다고 했다.
경산·이창희기자 lch888@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