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 폭설, 봄가뭄, 이상고온 등 올 들어 기상 난동(亂動)이 잇따르고 있다. 기상전문가들은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한 기온상승 영향으로 한반도의 경우 최근 30년간 기온이 1℃ 상승했고, 해양과 대륙사이에 위치한 지역적인 특성으로 온대기후와 아열대기후가 복합적으로 발생, 대기가 불안정하기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 폭우=15일 새벽 서울지역의 시간당 100mm의 집중호우는 37년만이며, 경북 춘양의 15일 228.5mm의 강우량은 8년만의 폭우다. 기상청이 발표한 '여름철 기상전망'에 따르면 대기 불안정으로 7월 하순 장마가 끝난 이후에도 수백mm의 집중호우 가능성이 크다.
△ 태풍 = 지난 7월중순까지 태풍은 4,5개가 발생, 예년의 8,9개에 비해 적었다. 기상청은 태풍 발생시기가 늦어지고 있어 7월말~8초순 4,5개가 집중적으로 발생, 이 가운데 1,2개가 한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 이상고온 및 봄가뭄 = 지난 3월 중순 대구에는 22℃~25℃를 기록, 평년 같은 기간에 비해 8~10℃가량 높은 때이른 초여름날씨를 보였다. 또 지난 6월초에는 대구와 경북 북부가 평년보다 6℃가량 높은 이상 고온현상이 나타났다. 7월 초순에도 전국적으로도 30~35℃안팎의 고온현상이 4,5일 계속됐다.
지난 봄철(3~5월) 기상청의 강수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천(38.5mm)과 부산(106.3mm)은 97년만에 최소 강수량을 기록했고 경북 북부를 비롯한 전국이 평년의 20% 미만의 강수량을 보였다.
△ 폭설·강추위 = 지난 1월 초 대관령이 72년이래 가장 많은 92.2cm의 적설량을 기록하는 등 전국이 폭설로 최악의 교통대란을 겪었다. 경북지역도 27년만에 가장 많은 눈이 내렸다. 같은 달 중순 평양은 영하 26.5℃를 기록, 50년만에 강추위를 나타냈다.
△ 전문가 견해
기상청 박정규 기후예측과장=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기온의 0.6℃가량 상승속에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온난화 현상이 두드러진데다 60년 주기로 변동하는 '기온 상승.하강주기' 가운데 가장 뜨거운 시점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 기상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국북부지역 고온건조현상으로 '기후조절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면서 봄 가뭄과 홍수가 반복되는 이상 기후대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적도부근의 삼림파괴와 대기오염현상이 해양의 기온상승을 일으키고 여름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해양의 수증기가 많이 유입됐다. 이는 이상고온 현상과 국지성 폭우(스콜현상)로 대표되는 아열대 기후가 한반도에까지 북상, 기후대를 변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상전문가들은 기후대 조정을 과거 30년주기에서 10년주기로 단축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하고 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