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공보비서관 출신으로 지금은 정당인이 된 정두언(鄭斗彦)씨가 15년동안 몸 담아온 총리실에 대한 비판서를 출간한 것이 단연 화젯거리다. 아무리 '등 돌리면' 그만인 요즘 세상이라지만 그래도 떠나자 말자 국무총리는 대통령의 '바람막이나 희생양'이라 못박고 이런 총리실에 막대한 예산을 사용할 필요가 있느냐는 등 '막말'을 하는 정씨에 대해 배신자쯤으로 보는 시각이 있나하면 할말을 잘했다는 격려성 시각도 있는 등 이래저래 정씨는 구설수에 휩싸이는 모양이다.
▲그러나 정씨 비판서의 재미는 이처럼 꼬집는것보다 역대 국무총리를 부지런형, 게으른형으로 구분, 나름대로 평가하고 있는 대목이 아닌가 한다. 정씨의 공직생활 중 거쳐간 18명의 총리중 노재봉, 강영훈, 이회창, 박태준 전 총리들은 부지런하고 똑똑했고 이홍구, 이수성, 김종필씨는 게으르고 똑똑했다는 것이다. 그런가하면 '일은 엉터리로 하고 돈만 챙기는 유형도 있었다'는 등 정씨는 역대 국무총리를 다양하게 평가한 것이 특이하다.
▲따지고보면 지도자를 '부지런하고 똑똑한…'식으로 구분해서 평가하기 시작한 원조는 아무래도 19세기 프로이센의 군인이자 병략가(兵略家)인 클라우제비츠로 거슬러 올라가야만 할 것 같다. 서양의 손자(孫子)라 불리는 그는 군사전략가들사이에 불후의 명저로 통하는 '전쟁론'에서 군 지휘관을 4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첫번째는 '게으르고 똑똑한 유형'-이 타입은 게으른 천성탓에 최종결정이 늦고 그만큼 참모들의 의견을 많이 받아들여서 최종 판단을 하기 때문에 최상의 지휘관이 라는 것이다.
▲반면 부지런하고 똑똑한 지휘관은 부지런한 탓에 의사결정이 조급한 것이 흠이란 것-따라서 최고 지휘관보다는 좋은 참모가 되기 십상이란 것이다. 또 클라우제비츠는 게으르고 무능한 지휘관은 무능하기 때문에 일을 엉터리로 하지만 한가지 좋은 것은 게으른 탓에 무턱대고 일을 저지르지는 않기 때문에 재기불능의 큰 에러는 내지 않는다고 했다. 이에비해 최악의 상황은 '무능한데다 부지런한'경우다. 사태를 제대로 파악하지도 못하면서도 의욕만 앞서 여기 집적, 저기 집적 건드려 놓고는 감당도 못하는 상태야말로 '큰 문제'라는 것이다. 물론 이 얘기는 군 지휘관에 대한 언급이다. 그렇지만 어쩐지 YS이래 민주니 개혁이니만 내세워 밀어붙이고 있는 집권측이 한번쯤 되씹을만하다는 생각도 든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