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당권.대권 분리론'에 맞바람

입력 2001-05-16 14:43:00

민주당 권노갑 전 최고위원의 '2단계 전당대회론'에 '사당(私黨)화 의도'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등 동교동계의 당권-대권 분리론이 역풍을 맞고 있다.

소장파 중심의 이같은 비판론은 지난해 말 친권, 반권파로 나뉘어져 권 전 최고위원의 퇴진을 불렀던 상황을 연상케하고 있다.

게다가 권 전 최고위원의 발언에 남궁진 청와대 정무수석이 동조한데 대해 김대중 대통령이 격노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부 의원들의 반발은 더욱 노골적인 것 같다.

소장파 의원들은 2단계 전당대회를 통해 당권을 잡겠다는 동교동계 구파의 의도를 방관하지 않겠다는 태도다. 물론 현실적으로 동교동계가 대통령 후보를 낼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하더라도 당권을 장악한 후 대선후보까지 좌지우지 하겠다는 상황은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도도 엿보인다.

김성호, 장성민 의원 등은 "우려했던 일이 사실로 나타나고 있다"면서 "특정세력이 수렴청정을 통해 당을 사당화하려 한다"고 반발했다. 특히 일부 의원들은 "본선에 가기도 전에 권력나눠먹기로 자멸하겠다는 발상"이라며 "동교동계가 우선 자중자애 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또 조순형 의원도 "경제가 어려운 시기에 대권문제를 얘기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며 제동을 걸고 나왔다.

이런 와중에 당에는 김 대통령도 언짢아 했다는 소리가 전해졌다. 전날 남궁진 수석이 권 전 최고위원의 발언을 두둔하고 나선데 대해 김 대통령이 강하게 질책했다는 후문이다. 남궁 수석은 때문인지 "그말은 대통령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발을 뺐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지금은 경제를 살리는데 전력할 때이며 대권문제로 전열을 흐트릴 상황이 아니라는게 대통령의 확고한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같은 분위기에도 불구, 당권-대권 분리론이 쉽사리 수그러들 것 같지는 않다. 마땅한 후보감이 없는 동교동계로서는 현실적으로 권력분점 방안을 찾을 수밖에 없고 차기 경쟁을 벌이고 있는 후보군들도 일단 동교동계의 낙점에 기대를 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동교동계의 이같은 당권 장악 의도도 어떤 의미에서는 자신들을 업지 않고는 누구도 대권에 도전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