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 등을 출석시킨 국회 정무위에서 한나라당 서상섭 의원은 "150조 이상 공적자금이 투입돼 국민 1인당 210만원의 부담이 생겼는데도 금융부실이 개선되지 않고, 회수전망도 불투명하다"면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서 의원은 또 "향후 기업의 추가퇴출로 금융부실의 추가 발생이 우려되고 있다"면서 "은행의 충당금 적립기준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같은 당 정형근 의원은 "금감원이 직원 다수를 검찰에 파견해 계좌들을 전부 뒤지면서 야당과 언론을 탄압하고 있다"면서 "역대 정권중 이렇게까지 심하게 한 경우는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근영 금감위원장은 "검찰에 이 문제를 다룰 인력이 부족해 파견한것으로, 오래된 관행"이라고 설명하고 "현재 대검중수부와 서울지검에 각 11명, 3명을 파견중이며 파견시 인력 규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항상 논쟁을 한다"고 대답했다.
한나라당 이성헌 의원은 "현대생명으로 합병된 구 한국생명은 현대가 경영자를 파견하는 사실상 위장계열사였음에도 불구 현대생명의 인수과정에서 4천억원 규모의 부실을 정부측이 떠안기로 함으로써 현대가 막대한 이익을 챙겼다"면서"이는 현대에 대한 특혜가 아니냐"고 따졌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