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금성 서울경찰청장 '3일 천하',허위 학력에 호남편중인사 겹쳐

입력 2000-12-11 12:17:00

인사기록카드 학력 허위기재 문제로 무리를 빚었던 박금성(朴金成) 서울경찰청장이 9일 이에대한 책임을 지고 사표를 제출했으며, 정부도 즉각 사표를 수리하고 후임을 임명할 예정이다.

박 청장의 이같은 취임 사흘째의 도중하차는 학력 허위기재라는 공직자로서의 도덕성 문제가 결정적 계기가 됐지만, 그가 서울 경찰청장에 기용된 후 끊임없이 제기돼온 호남편중 인사시비도 한몫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5일 치안정감 4명을 동반 퇴진시키는 동시에 '호남 경찰청장-호남 서울청장'이라는 초강수를 두면서 경찰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취지로 박 청장을 전격 발탁, 서울 경찰청장이라는 요직에 기용했다.

그러나 박 청장은 임명되자마자 언론과 야당으로부터 '호남 친정체제 구축'이라는 비난과 함께 편중인사 시비를 불러일으켜 온 장본인.

지난 98년 3월 경무관인 서울 101경비단장으로 승진하면서 불과 2년8개월만에 총경에서 치안정감으로 오르는 초고속 승진가도를 달리자 경찰 내부에서조차 "도대체 배경이 뭔지 모르겠다"는 이의제기와 시기어린 비난이 끊이지 않았다.

그러던 중 수도 서울의 치안총수인 서울 경찰청장이 공식문서에 출신 고교와 대학 등 학력을 허위 기재했다는 의혹이 뒤늦게 제기되면서 편중인사 시비는 곧바로 도덕성 문제로까지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비록 박 청장의 행위가 지난 30년전의 일이고, 그로인해 그가 현실적인 이득을 보거나 허위기재한 학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법을 집행하는 고위 공직자의 도덕성 문제를 그냥 넘길 경우 야당과 여론의 공세를 피할 수 없다는 정치적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로서는 가뜩이나 편중인사 문제로 수세에 몰려있던 차에 도덕성 문제까지 거론되자 송자 전 교육부장관 등의 사례에서 보듯 더이상 버텨봐야 부담만 가중될 것으로 보고 급기야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외국 순방중임에도 불구, '사표 수리'라는 조기 봉합 수순을 밟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일로 이례적으로 취임 1년을 넘기며 유임됐던 이무영(李茂永) 경찰청장은 당장 인사발령을 받아 이미 배치된 치안감중 한 명을 치안정감으로 승진시켜 빈자리를 메워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또한 향후 박 청장을 발탁한 책임 소재를 놓고 구설수에 오르는 등 경찰 안팎의 공세로 입지가 상당히 위축되는 것은 물론 술렁이는 경찰 조직을 추스려야할 부담까지 지게 돼 지난해 11월 취임이후 야심차게 추진해온 경찰개혁도 적지않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경찰 고위 관계자는 "이번 문제는 박 청장 개인의 문제이기는 하지만 편중인사 시비에 이어 터져나와 경찰조직과 정부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경찰 조직을 안정시키는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