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 대비 여신규모를 나타내는 예대율이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어 금융기관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은행 대구지점이 발표한 대구·경북지역 여수신 동향에 따르면 9월말 지역 금융기관 예대율(총여신/총수신)은 61.1%로 6월말 65.3%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예대율은 7월말 61.6%, 8월말 61.3% 등으로 계속 하락하고 있는 추세다.
이 중 은행권 예대율은 6월말 76.6%에서 7월말 77.0%으로 한때 높아졌다가 8월말 76.7%, 9월말 76.4% 등으로 다시 떨어졌으며 비은행권 예대율은 6월말 51.1%에서 40%대로 떨어져 7월말 44.5%, 8월말 및 9월말 44.1% 등을 기록했다.
전국적으로는 특히 은행의 예대율이 크게 떨어져, 외환위기 이전 90%를 넘던 것이 98년 이후 70%선에서 맴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후 은행 예금은 급증했으나 대출증가세는 이에 미치지 못해 96년 87%에 이르렀던 예대율은 98년 70.3%로 떨어진 뒤 99년 69.0%, 올해 8월 71.6%에 머물고 있다.
이는 기업대출 위축으로 인한 대출부진 탓으로 총 대출금 중에서 기업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98년말 69.1%에서 99년말 66.0%, 올해 6월말 64.0%로 떨어졌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금융기관들이 위험도가 높은 기업대출보다 안전한 국공채 투자에 치중한 탓"이라고 분석하고 "하지만 국공채 수익률은 7%선으로 수익성이 낮아 예대율 하락은 곧 재무구조 악화로 연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상훈기자 azzz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야고부-석민] 여론 조사? 여론 조작?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대여 투쟁' 단일대오로 뭉치는 국힘…조경태 포용 가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