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기자-대우차 부도 숨넘어가는 대구경제

입력 2000-11-10 14:31:00

대구경제가 건설시장의 붕괴에 이어 자동차부품업계마저 연쇄부도의 길로 내 몰리는 등 끝없이 추락하자 지역경제의 붕괴를 우려하는 투고가 쇄도했다. 특히 삼성상용차 퇴출에 이어 대우자동차의 최종부도 결정이 나자 독자들은 지역경제에 대한 파산선고나 다름없다며 불안해 했다.

최경혜(포항시 환호동)씨는 "대하합섬, 우방, 서한 등 지역의 건설, 섬유업체들이 연이어 부도를 낸데 이어 삼성상용차 퇴출로 벼랑 끝에 몰린 대구 경제가 대우자동차의 최종부도로 사형선고를 받은 꼴이 됐다"며 "망가질 대로 망가진 지역경제를 살릴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것이 더욱 답답하다"며 허탈해 했다.

이진용(대구시 만촌동)씨는 "그렇잖아도 우방, 삼성차 퇴출로 지역경제가 엄청난 충격에 휩싸인 가운데 대구, 경북에만 400여개의 대우관련 부품업체가 연쇄도산의 초읽기에 들어갔다"며 "이번 대우자동차의 퇴출로 연간 1조5천억원 가량이 지역경제에서 사라지고 1만여명의 실업자가 생긴다니 걱정이 태산이다"고 우려했다.정부의 대책없는 퇴출결정에 대한 불만도 많았다.

장환진(구미시 옥계동)씨는 "정부가 아무런 대책없이 부실기업들을 퇴출함에 따라 우량기업마저 부도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며 "특례보증, 긴급경영안정자금지원 등 협력업체를 살릴 방안을 최우선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희정(청도군 청도읍)씨는 "부도의 파장을 최대한 막고 후유증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무엇보다 대우차부도가 협력업체들의 줄도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지원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며 "노사, 정부, 채권단은 머리를 맞대 법정관리라는 마지막 기회라도 놓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우자동차 노조가 회사를 살리는 자구안에 동의하지 않은데 대한 비난도 조심스럽게 불거졌다.

김희진(대구시 두류동)씨는 "최악의 상황인 만큼 대우차 노조가 양보를 했다면 수천개에 달하는 대우차 하청업체의 부도는 피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이 죽자는 식의 행동은 모두에게 좋지 않다"고 대우차노조의 자제를 요청했다.

최창희기자 cch@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