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공백 후속조치 인력.장비 집중투입

입력 2000-08-22 00:00:00

의료계 장기폐업에 따른 진료공백을 메우기 위한 정부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보건복지부는 22일 전국 시도 보건국장회의를 갖고 지난 16일 내놓은 의료사태장기화 대책 후속조치로 지역별로 27개 지역거점 병원을 지정, 공중보건의와 군의관 등 인력과 장비를 집중투입키로 했다.

또 23일부터 적십자사를 통해 의사와 간호사, 약사 등 의료인력 자원봉사단을 모집, 운영키로 했다.

이와 함께 공공의료기능 확대를 위해 국립의료원에 중앙응급의료센터를 설치하고 개방형병원 시스템을 조기 도입, 수련병원 입원실과 수술실을 개방해 동네의원의사가 환자를 데려와 입원.수술 등 진료를 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지역거점병원이 본격 가동되면 현재 진료차질을 빚고 있는 종합병원 등 3차 의료기관에서 강제퇴원 또는 입원거부당한 환자들이 거점병원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돼 환자불편이 조금은 덜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가 이처럼 비상진료체제 구축에 박차를 가하는 것은 의료계 휴폐업 사태가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의료계와의 지구전에 대비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이는 국민생명을 볼모로 하거나 집단이기주의를 강압으로 관철시키려는 것에 굴복해서는 안되며 설득과 대화를 병행하되 법과 원칙에 입각, 의료사태 타결에 힘쓰라는 김대중 대통령의 지시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