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 프로젝트 "2차계획은 없나"

입력 2000-08-21 00:00:00

대구 섬유 발전을 통한 한국 섬유의 도약을 위해서는 2003년에 끝나도록 돼 있는 밀라노 프로젝트 이후에 대한 장기 계획을 지금부터 추진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99년부터 시작된 밀라노 프로젝트가 5년간 6천800억원이 투입되는 것으로 끝날 경우 섬유 소재 및 디자인 개발에 필요한 약간의 인프라만 구축될 뿐 구체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이 우려에서다.

밀라노 프로젝트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계획 보완 용역을 맡고 있는 산업연구원은 최근 대구.경북섬유산업육성추진위원회에 보고한 자료를 통해 2003년 이후의 계획 설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오상봉 소장은 "17개 개별 사업들이 2003년 이후에도 계속 될 수 있을지, 정부의 지원이 이어질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밀라노 프로젝트 개별 사업들은 대부분 인프라에 대한 투자로써 업계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성과가 가시적으로 어떻게 나타날 것인지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프로젝트를 보완할 수 있는 후속조치는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산업연구원은 2003년 이후 △재정독립 및 운영자금의 확보 계획 △지원자체의 장기운영 필요성 △운영 경험이 없이 신설되는 사업에 있어 구체적인 운영계획과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조직 설립 등이 특히 필요한 과제라고 밝혔다.

지역에서는 밀라노 프로젝트가 일회성으로 끝나는 정부 지원 사업이 돼서는 안된다는 견해가 오래전부터 제기되고 있다.

이호정 대구섬유기능대학 학장은 "과거 경제개발계획이 5년 단위로 여러차례 계속되면서 우리나라 경제가 획기적 성장을 이룬 것처럼 밀라노 프로젝트도 이런 인식 위에서 사업의 연속성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섬유조합 관계자는 "대구시가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 일회성에 그칠 것이라는 업계의 우려를 불식시켜야 하며 정부에도 사업이 이어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끊임없이 제기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崔正岩기자 jeongam@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