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주영 전 현대 명예회장의 자동차 지분 6.1%의 '종착역'은 어딜까. 현대가 '채권단 인수후 매각'에서 '직접 매각'으로 방향을 틀면서 6.1% 지분의 향배가 또 다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는 직접 원매자를 찾아나선 이유로 채권단과의 협상결렬을 들고 있다. 각 채권기관 마다 차액보전 및 매매조건이 천차만별이어서 매각방식이 '선명'하지 못하다는 것이 현대측 설명이다. 아울러 일각에서 채권단과의 '이면계약'설까지 나돌자매각과정의 투명성을 높인다는 차원에서 아예 직접 매각을 택했다는 것이다현대측 계획대로 라면 이 지분은 국내외 기관투자가와 펀드에 분산 매각될 가능성이 높다. 특정개인이나 기관이 '독점'하기에는 물량이 클 뿐더러 조기 매각을 위해서는 분산매각이 최적이라는 설명이다. 이는 현 MK(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 체제에 영향을 주지 않겠다는 메시지도 포함돼있다고 현대 관계자는 전했다. 현대는 나아가 발등의 불인 자동차 조기 계열분리를 위해 매각도 최단시간내 해결하겠다는 입장이다. 현대 고위 관계자는 "주간사인 증권쪽이 단 이틀내에 매각이 가능하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그는 자동차 계열분리도 금주내 매듭이 가능하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그러나 현대자동차는 물론 정부와 채권단 일각에서는 여전히 의혹의 시선을 거두지 못하는 표정이다. 지난 14일 대국민 약속과 배치되는 듯한 모양새를 주는 데다 매수자가 누구냐에 따라 계열분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매각대상으로 지목된 '국내외기관과 펀드'의 성격이 불분명해 향후 어떤 목적으로 변화할지 모른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 채권단에서 지분매각 대상에 MK도 포함될 가능성이 제기된 시점에서 직접 매각이 결정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따라 정부 일각에서는 '원안'대로 갈 것을 현대측에 주문하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
이같은 시각에 대해 현대측은 몹시 억울하다는 표정이다. 현대 관계자는 "매각의 형태는 다르지만 내용은 같다"며 "지분매각에 한 점의 의혹도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현대내부에서는 드러내놓고 말하지는 못하지만 정 전명예회장의 지분이 궁극적으로 '공익'목적으로 활용한다는 원칙이 서있다는 인상이 짙다. 현대 관계자는 "지분의 용처는 철저히 정 전명예회장의 '명예'를 위해 쓰여질 것"이라며 "그런 맥락에서 매각과정도 투명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현대 내부의 분위기가 지난 3∼5월 형제간 내분 당시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게 주변의 관측이다. 내키지는 않지만 MK체제의 자동차 구도를 '현실'로 인정하고 있는 분위기여서 정 전명예회장의 지분에 '의도'를 가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에따라 현대주변에서는 현대의 이번 직접 매각이 또다른 '불씨'를 잉태할 것으로 보는 시각은 그리 많지 않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