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렵사리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던 현대사태가 채권단의 3부자 퇴진요구라는 돌출변수로 또다시 꼬여가고 있다.
현단계에서 3부자 퇴진요구는 MK(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 자진사퇴를 뜻하는것이어서 지난 5월말 불거진 MK 퇴진 논란이 또다시 재연될 조짐이다. 채권단의 논리는 정주영 전명예회장이 지난 5월말 국민앞에 3부자 퇴진을 약속한 만큼 이를 이행하는 것이 시장신뢰를 회복하는 선결요건이라는 것이다.
MK진영은 현대사태의 불똥이 옮겨붙자 발칵 뒤집혔다. 현대자동차 관계자는 "MK퇴진은 시장과 이사회가 결정할 사항"이라며 "사태해결과 동떨어진 문제를 재론하는 채권단의 저의를 모르겠다"고 반박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우리는 퇴진을 약속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MH(정몽헌 현대아산 이사회 의장) 산하의 현대 구조조정위원회는 MK 퇴진문제에대해 공식대응을 자제하면서 사태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MH 진영으로서는 정 전명예회장과 MH가 경영일선을 물러난 이상 해당사항이 없다는 입장이다. 물론 MK-MH간 대립구도를 감안할 때 MH 진영으로서는 채권단의 문제 제기가 결코 불만일리는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창업자인 정 전명예회장의 말이 법(法)으로 통한 현대가풍(家風)상 MK 퇴진은 사필귀정이라는 논리를 펴고 있다. 그러나 현대로서는 자칫 이 문제가 자구안 제출에 부담으로 작용할 공산이 있다는 점에서는 신경을 곤두세우는 표정이다. 물론 채권단이 MK 퇴진이 포함되지 않은 자구안에 비토를 놓을 지는미지수다.
채권단이 그동안 명시적 언급을 회피해온 '3부자 퇴진론'을 공식화한데 대해 현대 안팎의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물론 채권단의 입지로 볼 때 정부와 '조율'을 거쳤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높다. 현대 주변에서는 채권단 요구사항중 MH 진영의'문제경영진 퇴진'만을 거론하는데 따른 형평성을 의식, MK 퇴진론을 들고나온게 아니냐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또 이미 대표이사직을 사임한 MH와 정 전명예회장이 실질적으로 경영일선에서 퇴진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일부의 비판적 시각에 따라 이른바 '실질퇴진'을 요구하고 반대급부로 MK 퇴진을 요구하는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일각에서는 채권단이 현대 조직의 특성상 문제경영인, 즉 가신퇴진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아래 역시 실현가능성이 없는 MK 퇴진론을 들고나와 요구사항 자체의 의미를 퇴색시키려는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채권단으로서도 문제경영인 퇴진을 일방적으로 몰아붙이기에는 '명분'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의식하고 있는게 아니냐는것이다. 이에따라 현대주변에서는 MH와 MK 양진영이 'MK퇴진론'과 '문제경영인 퇴진'을 바터시키는 이른바 '빅딜설'까지 흘러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현대차측은 지난 5월31일 발표한 '3부자 동반퇴진'은 MK와의 사전합의 없이 나온 것일 뿐만 아니라 구조조정위원회가 보내온 퇴진통보 공문 역시 법적 효력이 없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현대차는 구조위의 발표 직후 이논리를 통해 '수용 불가'의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또 MK는 "현대는 전문경영인 체제로 간다"고 밝힌 정 전 명예회장의 '5.31선언'내용 가운데 '전문경영인'에 해당한다고 주장한다. 현대차 관계자는 "MK는 오랫동안 자동차업계에 몸담아 왔고 기아차를 인수, 무분규 뿐만 아니라 흑자경영을 일궈냈다"며 전문경영인으로서의 역할론을 강조했다. 특히 6월말 다임러 크라이슬러와의 제휴합의를 통해 현대차의 비전을 제시했다고 현대차는 강조하고 있다.
현대차 고위 관계자는 "현대사태의 배경이 MK의 부실경영 탓이 아니라 건설의 유동성 위기에 따른 것인데 왜 MK까지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하냐"면서 "MK 퇴진은 시장과 이사회가 결정할 일"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또 "이번 현대사태의 본질은 계열분리와 현대건설의 자구계획이라는 점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