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현안 해결 틀 마련

입력 2000-07-24 15:14:00

남북 장관급 회담의 29~31일 서울 개최로 한반도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남북 당국간 회담시대가 본격 재개된다.

남측이 27~29일 서울 개최를 제안하고 북측이 29~31일로 수정제의했지만 모처럼남북간 조성된 화해분위기를 고려해 23일 정부는 북측 제안을 수용하기로 내부방침을 정했다는 후문이다.

정부는 북측이 회담 개최날짜를 남측보다 이틀 뒤로 통보해 온 지난 22일부터 이날까지 바쁜 움짐임 속에 관계부처간 회의를 잇따라 가진 끝에 대승적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1차 남북 장관급회담 서울 개최는 두 정상의 6.15공동선언으로 마련된 남북간 화해와 협력의 정신을 구현해 나가는 당국간의 첫 조치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특히 평양 정상회담에 이어 서울에서 회담을 연다는데 의의가 있다.

지난 92년 5월 제7차 남북 고위급회담 이후 8년 2개월만에 서울에서 열리는 이번 장관급 회담을 시작으로 장관급회담은 평양과 서울을 번갈아 가면서 이어질 전망이다.

북측은 22일 내각총리 홍성남(洪成南) 명의의 서한에서 "제1차 북남 상(장관)급회담을 서울에서 가진다"고 밝혀 장관급 회담이 횟수를 거듭하는 가운데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열릴 것임을 시사했다.

장관급회담의 정례화는 남북간 현안을 해결하기 위한 대화채널이 필수적이라는 측면에서 남북관계의 중요한 진전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한편 이번 회담의 핵심 의제는 앞으로 어떠한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하는 것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번 회담에서는 남북간 협의사항과 실천체계로의 이행 등을 논의할 것"이라며 "대체적으로 경제, 사회.문화, 군사긴장완화 분야로 나눠보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답방문제도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이러한 의도에 따라 장관급 회담 대표단은 재정경제부, 문화관광부, 국방부 등의 차관급 또는 차관보 인사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이번 회담에서 후속회담의 대체적인 안건과 윤곽을 잡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이미 각 부처의 의견을 취합해 남측 대표단이 가져나갈 회담대책 준비를 마쳤다는 후문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