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방, 어떻게 해서든 살려야

입력 2000-07-21 00:00:00

지난달부터 자금난을 겪어온 건설업체 (주)우방의 하루하루는 지역경제에 피를 말리는 불안을 주고있다. 어제 열린 서울, 주택은행 등 채권금융기관회의에서 우방이 요청한 1천551억원의 추가자금지원을 거부함으로써 막판 부도위기에 몰렸던 우방이 대구은행의 긴급결제자금 지원으로 간신히 부도를 모면한 과정은 아슬아슬하기 짝이 없었다. 우방의 수많은 협력업체,납품거래업체,우방이 분양한 아파트 입주계약자들은 어제 하루 채권금융기관의 동향에 목을 빼고있었고 대구.경북지역 경제의 앞날을 걱정하는 주민들과 경제계는 침통한 심정이었다.

다행이 어제의 채권금융기관회의가 우방에대한 추가자금지원을 일단은 거부했지만 최종결정을 내리지않고 다시 논의키로해 다소간 희망을 갖게한다. 채권금융기관의 입장에선 우방의 회생가능성을 보고 신규자금지원을 할 수 밖에 없겠지만 지역민의 입장에선 어떻게 해서든 우방을 살려야하는 절대적 과제이기 때문에 그같은 희망이 현실화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우방이 도산한다면 가뜩이나 전국 최하위의 빈약한 경제력을 가진 대구지역경제는 엄청난 타격을 입을 것이고 경우에 따라선 지역경제가 공황에 직면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우방에대한 추가자금지원문제는 먼저 경제논리에 따라 푸는 것이 순리지만 수백만이 살고있는 지역전체에 심각한 파장을 가져온다면 꼭 경제논리로만 접근할 수는 없는 일이다.

물론 경영정상화에 실패한 워크아웃 기업주에대한 책임을 묻는 일은 불가피할 수도 있으나 기업을 살리는 문제는 기업주와 별개로 생각할 수 있다. 우방이 워크아웃 기업으로 결정되고도 우방타워랜드 등 보유부동산처분이 지지부진하고 기업 구조조정도 과감히 추진하지못한 것은 잘못으로 지적받아 마땅하고 이에대한 책임을 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우방이 벌이고 있는 주택.건설사업의 전망과 자산정리등을 통해 경영정상화의 가능성이 있다면 채권단은 이를 충분히 감안해야하고 정부도 우방의 회생노력을 적극 지원해야할 것이다.

지역민들의 희망대로 채권금융기관의 추가자금지원과 정부의 도움이 이루어진다해도 우방의 회생은 그것만으론 불충분하다. 우방이 스스로 채권단과 지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뼈를 깎는 노력을 쏟아야하고 지역민들도 우방에대한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특히 우방은 경영진이 전국주택협회장직을 내놓고 경영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여 신뢰를 쌓고 금융기관들도 분양계약자와 협력업체의 불안을 해소하는 일을 도와주어야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