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 남북시대 '새 좌표' 찾기 활발

입력 2000-06-16 15:15:00

지금까지의 대북인식을 한순간에 깬 신남북시대에 편승, 실정법을 넘나드는 새로운 대북인식과 통일운동을 주창하는 각종 학술행사, 사회운동이 활발할 조짐을 보이면서 정부와의 입장 조율, 공안당국과의 충돌 여부가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이같은 움직임은 대체로 남북 화해무드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기조로 새로운 통일운동의 방향을 모색하는 한편 '단 사흘간의 열풍'으로 55년간의 대북관과 김정일 위원장에 대한 일선 교육현장과 일반국민들의 인식이 혼돈에 빠진 상황에서 나오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정부는 사회운동단체들이 그간 마찰을 빚어온 보안법 개정, 8·15범민족대회 참가, 북한인권문제, 양민학살 진상규명 등의 예민한 사안을 들고 나올 경우를 비롯 새로운 남북시대에 대응하는 안보 및 통일에 관한 대국민 가이드를 시급히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영남대 통일문제연구소와 대구사회연구소는 22일 영남대 국제관에서 '통일에서 탈분단으로'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어 남북한 통일이 한반도 주민들의 인권, 복지와 생태계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토론할 예정이다.

'희망의 시민포럼'등 5개 시민단체도 같은 날 분단질서를 해체하고 통일로 가기위한 '남북정상회담 과제와 전망'에 대한 강좌를 여는 등 통일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움직임이 활발하다.

대경연합은 15대 국회 종료로 자동폐기된 국가보안법 개정을 16대 국회에 재상정을 추진하는 한편 대규모 8.15 범민족대회 참가를 유도하고, 6.25 피학살유가족모임이 주도하는 양민학살 진상규명 및 국제전범재판소 설치등의 지원을 통해 민간차원의 대북교류를 활성화할 방침이다.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도 이번 정상회담에서 다루지지 않았던 즉결처형과 가혹행위 금지, 정치범 석방 등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국제앰네스티 본부를 통해 국제사회에 이슈화 할 예정이다.

한국청년연합회 대구지부는 중앙집권적 통일운동을 지양하고 지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풀뿌리 통일운동을 전개할 계획이며, 이 연합회 포항지부는 6.25 당시 숨진 남북한 군인들의 합동위령제 상설화를 준비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김동렬 한국청년연합회 대구본부 사무처장은 "북에 대한 큰 인식 변화를 초래해 통일의 초석을 마련한 것이 이번 정상회담의 의의인 만큼 반정권 시각 대신 역사적 맥락에서 화해분위기를 깨지말아야 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반면 시민 이승우(32.대구시 북구 복현동)씨는 "합의서 한장에 축배를 들 때가 아니다. 국군포로와 납북어부 문제 등이 빠진 평양선언은 북측의 요구를 남측이 수용하는 일방주의적이라는 평가를 할 수밖에 없다"며 최근의 분위기를 경계했다.이정희 경북대교수(윤리교육과)는 "북한이 하루 아침에 문호를 열고 통일로 나설 것이라는 생각은 금물"이라며 "남한 내부의 통일관을 정립해 통일의 기초를 다지는 작업을 가장 먼저 추진한 뒤 5개항의 합의서 실천을 위해 한반도 주변 4강외교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李庚達기자 sarang@imaeil.com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