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이 남북 정상회담 개최합의에 어떤 형태로든 역할을 했다는 관측이 재계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남북 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특사로 활동한 박지원(朴智元) 문화관광부 장관은 10일 기자회견에서 민간의 막후 역할을 부인했다. 현대도 이번 정상회담 개최 합의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대 최고경영자들과 박지원 장관, 송호경 부위원장의 행적을 훑어보면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우선 3월17일. 박지원 장관은 지난달 15일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으로부터 대북 관계 특사를 맡아달라는 요청을 받고 이틀뒤인 17일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북한당국자들과 첫 비밀접촉을 가졌다.
경영권 분쟁에 휩싸여 있던 이익치 현대증권 회장은 17일 오전 상하이로 출국했다. 현대증권측에서는 현대증권 상하이 지점개설, 상하이 증권거래소 방문 등이 방중 목적이라고 밝혔으나 현대 주변에서는 대북사업과 관련이 있다는 소문이 있었다.
3월29일에는 정몽헌 회장, 이익치 현대증권 회장이 극비리에 방중, 베이징에서 송호경 부위원장과 만났다는 설도 있다.
박지원 장관이 베이징에서 송호경 부위원장을 만나 정상회담 합의를 이끌어낸 4월8일 정몽헌 회장과 이익치 회장의 행적도 관심사다. 정몽헌 회장은 식목일인 5일 정주영 현대명예회장과 함께 일본 도쿄로 갔다가 7일께 베이징으로 이동했으며 10일 귀국했다. 이익치 회장은 정명예회장의 일본 방문을 수행해 7일 귀국한 뒤 곧바로 베이징으로 출국했다가 9일 오후 귀국했다.
가히 정몽헌, 이익치 회장의 행적은 '동에 번쩍, 서에 번쩍' 수준이었다. 경협전문가들은 현대가 정부와 북한측의 중재 역할을 했거나 송호경 부위원장에 대한 정보를 정부측에 건넸을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가 송호경 부위원장과 오랫동안 일해온현대측에 협조 요청을 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더 이상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얘기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