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국민당(가칭)이 전국정당으로서의 세 불리기 작업을 본격화하고 있으나 지도부 구성을 둘러싸고 일부 인사들이 제동을 거는 바람에 이수성 전총리 등이 창당기자회견에 불참하는 등 갈등도 노출되고 있다. 이 전총리와 김용환 한국신당 집행위원장이 25일 열린 창당기자회견 자리에 참석하지 않은 것이다. 이 전총리 측은 전날의 과로와 음주에 따른 건강상의 이유를 댔고 김 위원장은 신당에 합류한다는 원칙에는 동의하면서도 당내 의견조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들의 불참 이면에는 최고위원 인선을 둘러싼 갈등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돌고 있다. 이 전총리는 정호용 전의원의 동참을 강력히 요청했고 정 전의원이 곧바로 신당참여를 선언하려고 했으나 신당 측 일부 인사들이 정 전의원의 '5공 이미지'를 이유로 창당선언후 참여를 권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물론 이는 정 전의원의 최고위원 선임문제도 걸려 있다. 일부 인사들이 최고위원직을 남발해서는 안된다며 정 전의원의 최고위원 예우에 제동을 걸자 정 전의원 측은 "모든 세력들이 한데 모여서 신당을 만들자고 하는 마당에 누가 누구를 평가하려고 하느냐"며 발끈했다는 것이다. 결국 정 전의원은 조만간 신당에 참여하기로 했고 이 과정에 불만을 표한 이 전총리도 26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는 것으로 입장을 재정리했다.
김용환 위원장의 신당 불참은 '한국신당'의 진로와 연관돼 있다. 한국신당이 창당절차를 마친 이상 신당 측과의 당 대 당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 김 위원장의 불참은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허화평 전의원의 예우문제도 함께 걸려 있다는 지적이다.
신당 측이 김 위원장은 최고위원으로 영입하지만 허 전의원에게는 최고위원을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도 신당 측은 한국신당 측의 입장을 수용하는 선에서 조기 통합을 추진하고 있어 이를 둘러싼 갈등은 봉합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출범초부터 보이고 있는 이 전총리와 김 위원장의 행보는 7인7색인 민주국민당이 향후 겪을 수 있는 갈등의 한 양상이라는 지적이다.
徐明秀기자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