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설비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실제 생산과 직접 관련있는 기계류 투자는 외환위기 전의 절반밖에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4분기중 설비투자는 작년 동기대비 48% 증가해 실질국내총생산(GDP)이 12.3% 성장하는 데 4.1%포인트 기여했다.
그러나 설비투자가 생산성 확대에 도움이 되는 기계류가 아니라 운수장비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 우리 경제의 성장 잠재력 저하가 우려된다.
운수장비 투자의 경우 96.5%의 증가율을 기록, 전체 설비투자 증가에 대한 기여도가 17.9%포인트에 달했다. 승합차는 122.5%, 트럭은 66.4%, 선박은 537%나 증가했다.
정보화관련 유무선 통신기기는 57.1% 증가하고 사무자동화 관련 컴퓨터.주변기기 및 사무용기계도 각각 63.7%, 74.2%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반면 생산능력 확대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금속공작성형기계 등 특수산업용 기계는 작년 동기 56.4%의 대폭적인 감소에도 불구하고 올 3.4분기 18% 증가에 그쳤다.
특히 음식품가공기계는 -37.9%, 건설 및 광산기계는 -5.2%로 감소세가 이어졌다.이에 따라 운수장비는 97년 3.4분기의 92.3% 수준으로 회복되고 컴퓨터.주변기기, 사무용기계 등 일반산업용기계도 87.6% 수준에 달했으나 특수산업용기계는 겨우 49.9%에 머물렀다.
한은 관계자는 "신상품을 개발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개발투자를 확대해 장기적인 성장잠재력을 키우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관세 폭탄에 노동계 하투까지…'내우외환' 벼랑 끝 한국 경제
정청래 "강선우는 따뜻한 엄마, 곧 장관님 힘내시라" 응원 메시지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