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집회는 최후의 수단"

입력 1999-11-06 00:00:00

한나라당 스스로 최후의 보루라고 생각하는 대구에서도 장외집회가 열릴까. 부산집회의 성공에 자극을 받은 한나라당에서 자연히 나오는 말이고 지역 정가의 화젯거리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한나라당은 이에 대해 결정한 바가 없다. 대구지역 한나라당 지구당위원장들도 이에 대해 각자가 생각만 할 뿐 공식 거론도 않고 있다. 한 의원은 미온적인 것 같다고 귀띔했다. 시지부 부위원장단은 대구집회를 개최하자는 의견을 정리하는 등 극소수이기는 하나 개최 주장도 없지는 않다. "대구에서도 장외집회를 열어야 한다"는 유도성 전화가 간혹 걸려 오고는 있다.

그러나 대구집회를 가로막는 요소도 적지 않다. 우선 예산안 심사와 선거법 개정 등 초미의 현안이 놓여 있는 정기국회를 거부하고 언제까지 밖으로 나돌 수 만은 없다는 점이다. 시간이 갈수록 비난여론이 비등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 민주계 출신이나 재야출신 등 강경파가 20~30%에 불과하고 70% 이상이 온건파로 이뤄진 한나라당의 인적 구성도 강경 일변도 투쟁을 어렵게 하는 대목이다. 투쟁 시간이 길어질 수록 전력은 약화될 수 밖에 없고 이회창(李會昌)총재에게 그 짐이 돌아가게 된다는 점도 부담이다.

자금문제도 장애물이다. 실제로 부산집회에 중앙당이 내려준 지원금은 1천만원이었다. 지구당별로 나누면 50만원이다. 인원동원에는 턱없이 부족한 액수다.

그 밖에도 부산에 이어 같은 영남권인 대구에서 또 집회를 개최할 경우 지역감정 조장이라는 비난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점도 고민이다. 부산에서처럼 지역정서를 자극하는 발언이 봇물을 이룰 것은 뻔하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대구시의회가 위천국가산업단지 지정 지연을 규탄하는 시민궐기대회를 이달 20일쯤에 준비하고 있다는 점도 대구집회에는 걸림돌이다. 대규모 장외 집회를 비슷한 시기에 열 경우 두 행사 모두 실패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국 상황이 갈수록 악화돼 도저히 여야 대화가 불가능해지는 상황으로까지 발전하지 않는다면 대구집회는 열리지 않을 공산이 크다. 이와 관련, 대구출신의 한 의원은 "대구집회는 한나라당이 펼칠 수 있는 공세 가운데 최후의 수단"이라는 말로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했다.

李東寬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