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유가 급등으로 기름값이 사상 최대수준까지 오르고 있으나 차량 증가율은 오히려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가 하면 전력 사용량도 계속 느는 등 에너지 과소비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특히 기름값이 오르는 시점에서 차량 통행량은 오히려 많아지는 등 '에너지 위기 불감증'이 만연하고 있다.
대구시 차량등록사업소에 따르면 휘발유 가격이 올 들어서만 4차례 인상됐으나 대구지역 차량 등록대수는 지난 4월부터 매달 2천대 이상꼴로 폭증하고 있다.
대구시가 실시중인 차량 10부제도 사실상 지켜지지 않고 있고 시민 운동으로 벌어지던 카풀제도 호응하는 시민들이 없어 중단되는 등 출·퇴근시간대 '나홀로 차량'이 급증, 주요 교차로마다 정체가 가중되고 있다.
대구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휘발유가격이 ℓ당 20원 가량 올랐으나 교통량은 오히려 인상전보다 더 많아졌다. 지난 달 30일 복현·동신·두산·두류·북비산·계대네거리 등 대구시내 6개 주요교차로의 출근시간대 차량통행량은 모두 4만2천946대였으나 유가인상후인 지난 20일의 통행량은 이보다 3천대가량 많은 4만5천751대였다.
대구시 교통국 한 관계자는 "차량 10부제가 지켜지지 않는 것은 물론 카풀도 외면당하고 있다"며 "지난 97년 출범한 한 민간카풀단체는 참여하는 사람이 급감, 올초 활동을 중단했다"고 말했다.
에너지 다소비형 가전제품도 판매가 늘어나 외환위기 이후 인기를 끌었던 절전형 제품의 인기가 급락하고 있다. 대백프라자 가전제품 판매부에 따르면 절전형 제품에 비해 월 13Kw가량 전력소비가 많은 대용량 냉장고가 최근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
더욱이 정부가 외환위기 이후 시행했던 자정이후의 네온사인 점등 금지조치 등 에너지 절약방안을 올초부터 해제, 에너지 소비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한국전력 경북지사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달 말까지 전력사용량은 지난 해 같은기간보다 9.2% 증가한 1천908만8천457MW/h를 기록했고 이 중 민간부분의 사용량증가율이 10%대를 웃돌았다.
시민단체 한 관계자는 "제2차 석유파동 이후 20년이 경과, 민간부분의 에너지 위기의식이 약화돼 있다"며 "카풀·10부제 등 현재 시행되고 있는 에너지 절약대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 정부가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