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목마-신용카드 활용도 조사

입력 1999-09-14 15:06:00

정부가 공평과세 확립을 위해 신용카드 사용을 유도하고 있음에도 불구, 국민들의 60% 이상이 신용카드 사용 확대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홍보처가 지난달 30일 여론조사기관인 월드리서치사에 의뢰, 전국의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한 뒤 13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앞으로 신용카드 사용을 늘리겠다는 응답자는 38.8%인데 비해 과거의 사용량과 변함이 없을 것이라는 사람이 52.4%, 줄이겠다는 사람도 7.7%를 차지했다.

그러나 응답자의 72.6%는 신용카드 사용 활성화가 공평과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58.5%가 신용카드 영수증 복권제도를 찬성했다.

신용카드 활성화 방안을 묻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35.6%는 신용카드 사용에대한 세금 공제를 꼽았으며 30.5%는 신용카드 수수료 인하를 들었다.

또 신용카드 소유 현황과 관련, 카드를 전혀 갖고 있지 않다는 사람이 49.2%로 절반 가까이 됐으며 1개를 소유하고 있다는 사람은 27.7%, 2개는 12.4%, 3개는 6.3%, 4개는 2.9%, 5개 이상은 1.5%에 달해 우리 국민들의 1인당 평균 카드소유량은 0.9개로 조사됐다.

신용카드를 소유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42.7%가 충동 구매 등 소비증가를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답했으며 카드 분실로 경제적 피해가 걱정돼 카드를 만들지 않았다는 응답자는 13.2%에 달했다.

한편 16.9%의 사람들이 신용카드 지불을 거부당한 경험이 있었으며 카드 지불을 거부한 업소는 음식점이 46.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일반상가 29.1%, 병원 16.3%, 술집 11.6%, 주유소 9.3%, 문화 및 레저시설 3.5%의 순이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