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개혁위가 1차시안으로 내놓은 내용은 한마디로 국민 인권신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평가할만하다.
특히 인신보호법을 비롯 구속기간단축, 신속한 영장청구, 수사과정부터 변호인 참여, 국선 및 무료변론 50%확대 등이 바로 지금까지 줄기차게 지적돼온 인권침해 극복과제였다.
이 내용이 그대로 법제화로 이어진다면 검.경의 수사문화마저 획기적으로 선진화되는 인권보호의 극대화가 이뤄질 것으로 짐작된다. 또 특권층을 비호하고 검찰의 중립성마저 의심받아온 재정신청(裁定申請)의 범위확대도 퍽 고무적인 내용이다. 지금까진 공무원의 직권남용, 수사기관의 가혹행위 등 극히 국한된 사안에 한해 검사가 불기소한 경우, 그 이해당사자가 바로 법원에 기소해 달라고 요구할 수 있었다. 이걸 공무원(국회의원, 선출직자치단체장 포함)의 모든 범죄로 확대, 검사의 자의적인 불기소처분을 제도적으로 방지했다는 것도 크게 환영할만한 내용이다그러나 이 문제는 검사의 기소독점주의가 훼손될 소지가 있다는 일부 견해가 있으나 이 재정신청은 유신때 형소법을 개악해 그때 축소시킨 범위를 복원한 것인만큼 기소독점훼손은 원천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논리라 할 수 있다. 오히려 공무원범죄이외의 것으로 더욱 확대했어야 한다는 아쉬움이 남지만 앞으로 점차 개선해나가야할 사안으로 간주된다.
또 변호사수임료에 성공사례금제도를 없앤것도 주목할만한 내용이다. 이 '성공사례비'는 자칫 변론비용을 높여 법률구조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고 그에 따른 피해는 국민들이란 점을 감안할때 무척 미래지향적인 '관행철폐'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수입이 그만큼 주는 일부 변호사들이 이를 어떻게 교묘하게 악용, 사실상의 '부활'을 제도적으로 막느냐에 있다.
대체적으로 긍정평가를 내릴 수 있는 이번 시안이 관철되려면 1차 문제가 실천력이다. 법과 제도가 완비됐다고 해서 진정한 법치국으로 발돋움하는게 아니라는 건 지금까지의 경험칙에서 익히 알 수 있다. 수사기관 등에서 이를 준수하려는 개혁의지가 없으면 법과 현실은 겉돌기 마련이다. 사법개혁위는 이 점을 특히 중시, 실천력 제고의 수단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두번째는 공론화를 통한 법제화 과정에서 '직역 이기주의'에 밀려 본래 취지가 퇴색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 과정에서 실패하면 이 사안은 휴지조각으로 전락한다는 점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이런 우려사안이 극복되면 사법개혁의 본질인 사법인력 수급문제, 검찰.법원의 구조개혁 등에 본격적으로 돌입, '유종의 미'를 거둬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