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4일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김종필(金鍾泌) 총리가 '연내 개헌 유보'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지자 내심 반기면서도 자민련 내부에 가해진 충격파가 여여관계와 정국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아직 가늠할 수 없기 때문인 듯 신중한 자세를 취했다.
청와대로서는 그동안 김 총리가 스스로 내각제 문제의 고리를 푸는 결단을 내리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는 기대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김 총리의 '개헌유보' 합의로 인해 내각제 문제가 조기에 매듭지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한 고위관계자는 "내각제 때문에 (공동정권에) 파국이 오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김 총리는 내각제가 안되더라도 공동정권에서 철수할 의사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 다른 한 관계자는 "우리는 내각제 문제의 조기해결을 꾸준히 건의해 왔다"며"이번에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면 빨리 내리는 게 낫다"고 말해 오히려 상황발전에 따라선 이번 파문이 내각제 불안요소를 조기에 해결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기대를 표시했다.
그러나 자민련 내부에서 일어날 찬.반 격론이 공동정권의 한축인 자민련을 마비시킬 정도의 내분으로 발전할 경우, 공동여당간 관계도 다시 혼조에 빠지고, 김대중대통령이 최근 간신히 다잡은 국정과 정국 추진일정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청와대는 자민련 내부의 움직임에 촉각을 세웠다.
이에따라 박준영(朴晙瑩)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내각제 관련 질문에 '노 코멘트'로 일관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이와함께 김 대통령과 김 총리의 '합의'에 따른 후속작업을 매듭짓지 못한 상황에서 이런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자민련이 내분 양상을 보일 경우, 김 총리가 자민련 의원들의 반발을 무마하는데 진통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일부세력의 이탈 가능성 등을 우려했다.
한 관계자는 "김 대통령이 앞으로 김 총리와 자민련 의원들의 입장을 생각, 여러가지 배려를 하지 않겠느냐"며 총리 권한강화, 국민회의와 자민련간 각종 공조강화 방안 모색, 자민련의 소외감 해소방안 강구, 16대 총선을 앞둔 대전.충남지역 의원들의 위기의식 해소방안모색 등을 '내각제 문제 매듭'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꼽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