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설연휴가 끝난 직후인 18일 총무접촉을 통해 국회정상화에 큰 가닥을 잡는 한편으로 대치정국의 정상화를 위한 여야 총재회담을 위한 총장접촉도 본격화했다.
이날 접촉이 비록 여야의 기존 입장을 전달하는 선에서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으나 당지도부와의협의를 거친 뒤 다시 만나는 여지를 만들어 놓았다는 점에서 불원간 정상화될 수 있는 가닥은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한나라당의 요청에 따라 국민회의와 한나라당의 총장들만 만난 이날 접촉에서 정균환(鄭均桓)국민회의 사무총장은 지역감정 조장과 경제회생 노력에 협조할 것을 요청하는 등 총재회담의 사전분위기조성을 촉구했다. 정총장은 또 오는 21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국민과의 TV대화와 24일취임1주년 기자회견을 통해 순리에 따르는 정치와 인위적 정계개편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표명이있다는 점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의 신경식(辛卿植)총장은 인위적 정계개편 중단 등 야당파괴 포기선언을 해달라는 기존의 요구조건을 재확인했다. 신총장은 이 자리에서 여권의 주요인사들로부터 나오는 동서화합을 위한 정계개편 필요성 언급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자제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양당 총장들은 이날 회담결과를 당지도부에 전달, 협의를 거친 뒤 다시 만나기로 했다.또한 한나라당이 당분간 장외집회 일정을 잡지 않고 원내활동에만 주력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고 국민회의도 야당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총재회담의 분위기는 성숙돼 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만 한나라당이 급할 게 없다는 인식을 바닥에 깔고 여권 핵심부의'확약'을 받아내겠다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어 다소 절충에 어려움이 예고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김대통령의 국민을 상대로 한 공개적인 언급이 있을 경우 한나라당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음에도 언제까지나 총재회담을 거부할 명분이 없다는 점에서 여야가 적절한 타협을 이룰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물론 이총재가 이른바 총풍.세풍사건의 처리문제를 총재회담과 연계하려 한다는 여권 일각의 주장도 걸림돌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사안의 성격상 대세를 가로막을 공산은 크지 않다.
따라서 이같은 분위기가 지속될 경우 여야 총재회담은 빠르면 21일 직후에 성사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李東寬기자〉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