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재회담 성사 "무럭무럭"

입력 1999-02-19 00:00:00

여야는 설연휴가 끝난 직후인 18일 총무접촉을 통해 국회정상화에 큰 가닥을 잡는 한편으로 대치정국의 정상화를 위한 여야 총재회담을 위한 총장접촉도 본격화했다.

이날 접촉이 비록 여야의 기존 입장을 전달하는 선에서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으나 당지도부와의협의를 거친 뒤 다시 만나는 여지를 만들어 놓았다는 점에서 불원간 정상화될 수 있는 가닥은 잡았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한나라당의 요청에 따라 국민회의와 한나라당의 총장들만 만난 이날 접촉에서 정균환(鄭均桓)국민회의 사무총장은 지역감정 조장과 경제회생 노력에 협조할 것을 요청하는 등 총재회담의 사전분위기조성을 촉구했다. 정총장은 또 오는 21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국민과의 TV대화와 24일취임1주년 기자회견을 통해 순리에 따르는 정치와 인위적 정계개편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표명이있다는 점을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의 신경식(辛卿植)총장은 인위적 정계개편 중단 등 야당파괴 포기선언을 해달라는 기존의 요구조건을 재확인했다. 신총장은 이 자리에서 여권의 주요인사들로부터 나오는 동서화합을 위한 정계개편 필요성 언급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자제를 요청했다.

이에 따라 양당 총장들은 이날 회담결과를 당지도부에 전달, 협의를 거친 뒤 다시 만나기로 했다.또한 한나라당이 당분간 장외집회 일정을 잡지 않고 원내활동에만 주력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고 국민회의도 야당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 총재회담의 분위기는 성숙돼 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다만 한나라당이 급할 게 없다는 인식을 바닥에 깔고 여권 핵심부의'확약'을 받아내겠다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어 다소 절충에 어려움이 예고되고 있기는 하다. 그러나 김대통령의 국민을 상대로 한 공개적인 언급이 있을 경우 한나라당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음에도 언제까지나 총재회담을 거부할 명분이 없다는 점에서 여야가 적절한 타협을 이룰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물론 이총재가 이른바 총풍.세풍사건의 처리문제를 총재회담과 연계하려 한다는 여권 일각의 주장도 걸림돌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사안의 성격상 대세를 가로막을 공산은 크지 않다.

따라서 이같은 분위기가 지속될 경우 여야 총재회담은 빠르면 21일 직후에 성사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李東寬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