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다르게 수위가 높아졌던 사정(司正)정국이 급선회하고 있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18일 강원도 춘천에서 사정의 조기종결 방침을 밝혔기 때문이다.
김대통령의 이날 "사정이 필요없이 시간을 끌고 범위를 넓히는 일은 없도록 항상 유의하고있다"면서 "모든 사람을 반드시 구속해 사정을 해야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한 것이다. 박지원(朴智元)청와대대변인은 이를 "굵고 짧게 한다는 것"으로 해석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내에서는 구속처리는 국세청을 통한 대선자금 조달에 간여한 서상목의원등 극소수에 해당되고 일련의 비리사건에 대한 처리도 이번 기회에 종결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김대통령의 언급에서 눈여겨 볼 점은 검찰이 김대통령의 통제아래 있었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이다.
박지원대변인은 사정의지 퇴색을 부인한뒤 "사정이 마냥 길어진 것은 야당이 수사에 협조하지 않은 탓"이라고 말을 꺼낸뒤 경성, 청구사건 등은 관련된 몇사람이 조사에 응하면 될 정도로 수사가 마무리단계에 들어갔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청구비리 사건의 경우도 앞으로큰 건이 나올 게 없다는 얘기여서 그동안 줄곧 곤욕을 치렀던 김모의원 등 대구.경북지역출신 야당의원들도 홀가분해지게 됐다.
그러나 정가는 사정정국의 돌변은 역시 여야 극한대립을 통한 국회공백에 대한 우려와 최근사정의 흐름에 대한 국민들의 곱지 않은 반응이 크게 영향을 주었다는 분석이다.물론 김대통령은 부정부패 척결을 위한 중단없는 사정에 대해서도 계속 톤을 높이고 있다."부정부패가 존재하는 한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이 없다"면서 "부정부패 척결을 위해 확고한결심을 갖고 진행중"이라고 언급했다. 앞으로 국민들이 피부에 와닿는 하위직공무원들에 대한 대대적인 사정이 예고되어 있는 것과 관계가 있어 보인다.
한편 정가에서 나돌던 김대통령의 신당 창당을 위한 사정설(說)은 다시 잠복하게 되겠지만이번 사정을 계기로 여야간의 불신은 더욱 깊어지게 될 것 같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