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화 영향력 극대화

입력 1998-03-26 14:31:00

내년 1월1일자로 출범하는 유럽단일통화동맹(EMU) 참가국이 25일 유럽연합(EU) 집행위가 권고한 11개국으로 사실상 확정됨에 따라 유럽 단일통화의 정착 전망에 새삼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1년여 전만 해도 EU 15개 회원국중 11개국이나 되는 나라들이 참가자격을 얻어 가담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하기는 매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지난 96년말 기준 경제지표로 볼 때 단일통화 참가기준을 거의 충족시킨 나라는 네덜란드 등 4개국에 불과했다.

97년에야 기준 달성에 추가로 접근할 것으로 분석된 독일, 프랑스 등 5개국을 포함, 8~9개국이1차 참가국으로 선정되리라는 것이 당시의 지배적인 관측이었다.

다만 단일통화권의 영향력 극대화와 유럽 통합의 가속화를 의식해 EU가 기준을 탄력적으로 해석, 많은 나라들의 가입을 유도할 가능성도 점쳐져왔으며 결과는 그렇게 나타났다.이는 인구규모나 세계 무역비중, 총생산 비중에서 달러화의 미국이나 엔화의 일본에 뒤지지 않는거대 단일통화권을 만들어 유로화를 단숨에 세계 기축통화로 만들겠다는 EU의 야심과도 무관하지 않다.

이와관련 순수 경제논리보다 정치.경제적 고려를 병행시킨 이같은 접근방식은 단일통화의 안정적 운용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 당연히 따르고 있다.

환율의 안정성, 인플레, 재정의 건전성, 중앙은행의 독립성 등 까다로운 기준들이 적용된 집행위의 심사 과정에서 대부분은 큰 문제없이 넘어갔으나 공공부채 기준에서는 다소 융통성이 발휘됐다.

예상을 뛰어넘어 11개국이 참가국으로 사실상 결정되기까지 그 다양한 이해관계와 빛깔의 유럽각국 정계와 금융계, 대기업, 자본시장 등 통화통합 관련 세력들은 합심해 시한내에 참가국을 최대한 엮어내는 힘을 보였다.

장기간의 인내와 토론을 거쳐 하나, 둘 동조국을 만들어 나가고 이들 다수의 힘으로 나머지 국가들을 끌어들이는 EU의 행동 양식은 가장 어렵다는 통화통합에 있어서도 결국 성공의 비결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를 낳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