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24시-장애인 도시거주 제한등 '통제'강화

입력 1997-12-17 00:00:00

북한의 장애인들은 어떤 대우를 받고 있을까.

평양을 비롯 남포·개성·청진등 외국인의 출입이 잦은 도시는 장애인들을 찾아보기가 쉽지않다.북한당국은 이미 70년대중반부터 농아·맹아등 지체부자유자들을 일정지역에 이주시키는 차별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평양의 경우 인근 군으로, 지방도시는 농촌이나 산간오지로 추방, 장애인들의거주를 제한한다.

지난 88년 김정일은 89년에 개최된 세계청년학생축전에 대비, 평양에 남아있는 장애인들을 강제추방, 또 한차례 회오리를 일으켰다. 축전에 참가한 외국인과 재외동포들에게 장애인이 없는 살기좋은 곳이라는 선전을 하기위한 조치였다. 장애인이 미성년인 경우는 부모와 함께 추방하고 성년으로 세대주인 경우는 그 가구전체를 강제이송하기도 했다.

장애인학교가 따로 없는 북한에서는 인민학교나 고등중학교의 교사들조차 장애학생의 결석에 별반 관심을 두지않는다. 장애학생 부모들은 학교에서 지급하는 교복이나마 받고자 억지로 학교에보내고 있는 실정. 당간부등 상류층은 자녀가 추방대상에서 제외돼도 집안에 가둬두거나 평양외곽의 친척들에게 맡기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차별정책으로 인해 일반주민들의 편견도 심각한 수준이다. 나이든 장애인을 존칭없이 함부로 대하거나 비인격적 모욕을 대수롭지 않게하고 있다는 것. 또 직장내 각종 배급에서도차별을 받아 장애인이 우선 순위에서 밀리거나 임금을 제대로 못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인과의 결혼은 엄두도 낼수없는 북한의 장애인들은 당국의 통제정책과 주민홀대등 2중3중의 고통에시달리고 있다.

〈盧鎭奎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