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전노씨 사면촉구 배경

입력 1997-09-01 00:00:00

국민회의 김대중(金大中)총재가 전두환(全斗煥)·노태우(盧泰愚)전대통령에 대해 그동안 내걸었던'본인의 사과'라는 전제조건을 철회한채 사면을 촉구하고 나선 것은 대구·경북표를 의식한 선제공격의 의미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이 지역 표를 좀더 얻어보겠다는 게 아니라 현재의 지지율 상승세를 확고히 함으로써 9월정국에 '대세론'을 확산시키는 계기로 삼겠다는 전략인 것이다.

김총재는 이미 지난 7월 춘천에서 열린 강원지역 MBC 4사 공동초청 TV토론회에서 이같은 입장변화를 시사한 뒤 그동안 측근들과 비공식회의에서 여러차례 이 문제를 거론, 대체로 "우리가 먼저 얘기해야 물꼬가 터지지 않겠느냐"는 공감대를 이끌어낸 상태다.

그러나 아직 어떤 형식으로 공론화할 지를 정하지 못하고 있는 이 사안에 대해 김총재가 직접 언급하고 나선 것은 신한국당 이회창(李會昌)대표의 '대통합의 정치'를 의식한 기선잡기의 일환으로보인다.

"신한국당 이회창대표의 대통합정치가 내용없는 대통합이라면 김총재의 용서는 실질적인 대화합"이라는 한 당직자의 설명이 이를 반증한다.

즉 정치대란 여부로 주목되는 9월로 접어들기 직전에 '대화합' 화두를 던짐으로써 '정치적 의제'를 선점하겠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김총재는 이번주 월요일(1일)의 간부회의나 수요일 당무회의에서 전·노씨 사면문제에대한 이같은 당론변경안을 상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해찬(李海瓚) 임채정(林采正)의원 등 재야출신 의원들도 31일 김총재의 사면 전제조건 철회에대해 "지금 국면은 대선에서 이기느냐 지느냐가 중요하므로 그런 것을 따질 계제가 아닐 것", "여러상황을 감안해 용서할 수도 있다"고 말하는 등 김총재의 전제조건철회가 대선전략 차원에서 필요한 조치라는 견해를 밝혔다.

7월 임시국회 대표연설에서 본인들의 사과라는 전제조건을 달았던 김근태(金槿泰)부총재도 "김총재 입장에선 아무래도 정치적 고려를 해야 할 것인 만큼 이해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피력, 대체적으로 공감하는 분위기가 우세했다.

그러나 광주출신의 한 의원은 "본인들이 아직 잘했다고 말하는 상황에서 사면논의 자체를 용납할수 없다"며 "광주 현지에서도 공론화 절차를 거치지 않아 논란이 많이 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주민투표라도 해봐야 할 것"이라고 반대입장을 밝히고 있어 일부 반론도 예상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