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2-식량지원 받는쪽의 자세

입력 1997-04-01 00:00:00

정부가 민간차원의 쌀지원과 경제단체의 대북지원을 허용키로 한 것은 순수인도적 차원에서 옳은일일뿐만 아니라 우리가 추진하고 있는 4자회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본다.지금까지 종교단체등 민간차원의 대북식량지원은 국민정서적 입장에서 동의를 얻기 어려운 분위기가 없지않은 것이 사실이고, 정부차원의 지원도 대북정책과 맞물려 운신의 폭이 좁았었다.사회일각에서는 북체제는 미워도 굶주리고 있는 동포를 외면할 수없다는 순진한 민족애적 발상이세를 얻는 현상도 없지 않았다. 북에 대한 쌀지원은 한반도의 평화에 기여할 수 있어야만 하기때문에 단순감상적 판단에만 의존할 수 없는 우리만의 고민이 있어온 것이다.

즉 식량을 받으려는 쪽의 자세가 문제가 돼온 것이다. 남북직접대화를 기피하면서 무력도발이나일삼고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서만 목적달성을 하려는 북한의 자세변화가 우선 요구되고 있었다.다행히 북한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4자회담을 수용할 뜻을 비추고 있고 우리와 국제사회 역시 여기에 상응하는 성의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북은 식량지원을 4자회담의 전제조건으로 걸지 말고, 회담이 성사되면 북을 보는 국제사회의 시각도 좋아지리란 점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북의 실상을 진솔하게 우리측에 설명하고 지원을요청하면 우리도 그들의 자존심을 상하지않게 배려하면서 성의를 다해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국제사회의 지원도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본다.

이와 아울러 북한은 지원되는 쌀을 군량미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보장을 해줘야한다. 계속 전해지는 북의 식량사정은 가보지않아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참담한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 연변쪽을 여행해본 사람이면 조선족을 통해 북의 식량사정을 거의 파악할 수 있다.

작년여름 김정일은 "소나무를 죽이지는 말고 껍질을 벗겨 먹어도 좋다"는 허락을 했다는 말이 실감나게 들릴 정도다.

굶주린 주민들이 직접 쌀을 공급받게 되도록 북한이 적절한 방법으로 보장해달란 얘기다.식량을 지원하는 우리의 자세도 진지하고 겸허해야한다. 시혜를 베푸는듯한 인상을 주지않아야한다. 북이 필요로 하는 쌀이 1백50만t이라고 하니 20억달러이상의 부담이 예상된다. 물론 미국·일본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지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