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기전에 대부분의 나무는 낙엽을 만든다. 활엽수종은 넓은 잎 표면으로 엄청난 수분이 증발한다. 겨울에는 흙이 얼어 뿌리에 수분공급이중단되기 때문에 물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겨울에도 활엽수들이 잎을 달고 있다면 수분부족으로 말라 죽게 될 것이다.
하지만 비늘과 같은 잎을 가진 침엽수는 표면적이 훨씬 작기때문에 잎을 떨어뜨리지 않고도 생존할 수 있다. 겨울철에도 날씨가 온화하면 침엽수는 광합성을 한다.
그런데 침엽수와 같은 상록수 잎은 날씨가 영하로 내려가도 왜 얼지 않을까. 보통 식물 세포는수액 농도가 낮기 때문에 겨울에 기온이 내려가면 잎 세포가 얼어 죽게 된다. 이에 비해 상록수는 세포액의 농도가 높아 낮은 기온에서도 얼지 않는다.
상록수 잎 세포의 농도는 낙엽수보다 항상 높은 것은 아니다. 여름에는 상록수나 낙엽수나 세포의 농도가 비슷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겨울에 기온이 낮아지면 상록수는 잎의 당분을 증가시킨다.당분의 양이 많아지면 세포의 농도가 증가하여 마치 바닷물이 강물보다 잘 얼지 않는 이치와 같이 상록수 잎의 어는 점이 낮아져 웬만한 기온 강하에도 거의 동해(凍害)를 입지 않는다.밤이나 도토리도 기온이 낮아지면 효소의 작용으로 저장하고 있는 녹말을 포도당으로 분해한다.삼투압을 높여 세포속의 원형질을 얼지 않게 하기위해서다. 겨울을 지낸 밤이 훨씬 단 것도 바로이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