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질병 상담"
인터넷속에 병원이 있다 최근 컴퓨터 통신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인터넷에 가상병원 을 설치하는 병 퓻坪肝늘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전문의로부터 의료 자문을 구할 수 있는 가상병원 은 3시간대기, 3분 진료 로 상징되는 우리나라 대형병원과는 거리가 멀다.
대표적인 의료정보 홈페이지인 인터피아 클리닉 (http://interpia.net/~clinic/)에는 16개의 전문의와 함께하는 건강 홈페이지 가 개설돼 있다.
진료과목은 환자들이 쉽게 병원을 찾기 어려운 성형외과, 비뇨기과, 정신과 등이 대부분. 전문의들로부터 모발이식, 성형수술, 비뇨기 질환, 대장항문병, 섹스문제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물론 전자우편, 전화를 통한 의료상담도 가능하다.
종합의료정보 시스템 (http://cs.sungshin.ac.kr/~med/)도 비슷한 성격의 인터넷가상병원. 한림대 의대의 에이즈와 성 , 광주기독병원의 당뇨병 교실 , 전문의에게 물어보세요 등 국내외 의료정보 검색과 진단을 위한 다양한 사이트가마련돼 있다.
장기관련정보와 함께 각 지역 병원과 전문의에 대한 자료를 담은 병원정보검색 , 임상데이터를 등록하면 예상 결과치를 알려주는 의료진단시스템 도 갖춰져 있다.
삼성의료원이 제공하는 인터넷 종합병원 은 상담신청을 하면 삼성의료원 전문의들이 개별적으로 이에대한 답변을 해준다.
이외에 성별, 연령별로 준비된 자기진단 코너 등이 마련된 버츄얼 병원 과 메디네트 인터넷 닥터 도 인터넷상에서 운용되고 있는 가상병원 이다.
대구경북지역에서는 경북대 병원의 모발연구센터(http://hair.kyungpook.ac.kr/h)와 영남의료원(http://www.yeungnam.ac.kr/attorg/ vo2/hv026.html#term1)이인터넷 홈페이지를 구축, 환자들을 맞고 있다.
안동의료원 신경과 조용원과장이 개설한 닥터조의 홈페이지 도 다양한 의료정보를 서비스하고 있다.
단 일부 의료정보 사이트에는 검증되지 않은 의료정보가 실릴 수도 있다. 따라서 검색자는 가상병원 의 정보에 절대 의존하기보다 이를 참고해 특정 질병이의심될 경우 직접 전문의를 찾아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의료관계자들은 충고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