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對南보복] 엄포 강화

입력 1996-09-30 00:00:00

"재도발 가능성, 전문가들 安保 경고"

당초 잠수함과 북한 군인의 송환을 요구했던 북한이 최근들어 태도를 바꿔 대남 보복조치를 잇따라 언급함으로써 향후 북한의 태도가 주목되고 있다.

북한은 9.18 잠수함 무장공비 침투사건 에 대한 첫 공식반응으로 지난 22일 인민무력부 대변인명의의 담화를 통해 기관고장에 의한 우발적 사고 로 성격을 규정하면서 잠수함과 생존 및 사망북한군인을 무조건, 조속히 송환할 것을 요구했다.

이례적으로 무력도발 사건에 대한 북한의 귀책사유를 재빨리 인정, 비교적 온건하게 보였던 초기대응양식은 26일 당.정.사회단체 긴급 연합회의 가 개최되면서 강경대응으로 돌변했다.북한을 이번 사건의 피해자 로, 남한을 가해자 로 규정하면서 피해자로서 가해자에게 보복할권리를 가지고 있다 고 주장, 대남 보복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고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북한은 긴급 연합회의 에서 남한 당국자에 대한 강력한 대응조치 를 결정했다고 관영 중앙통신이 전했다.

중앙통신은 이어 27일 북한 당국의 위임에 의하여 성명을 발표, 가해자가 보다 오만하게 행동하는 조건에서 피해자인 우리가 더 이상 자제력을 보여 줄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면서 우리의 보복은 백 배의 것으로도 될 수 있고 천 배의 것으로도 될 수 있다 고 위협했다. 이 성명은긴급 연합회의 의 결정 사항을 공개한 것으로 추정된다.

관계 전문가들은 북한의 이같은 위협에 대해 한 마디로 적반하장(賊反荷杖) 격이라고 일축하고있다. 북한의 무력도발이 명명백백하게 밝혀진 상황에서 도적이 오히려 매를 드는 식 으로 궁지를 빠져 나가려는 상투적인 수법이라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중앙통신 성명이 인민무력부 대변인 담화와 마찬가지로 잠수함과 북한 군인의 송환을요구하고 있는 점을 들어 이번의 위협 도 잠수함 및 생존.사망자의 송환을 위한 엄포용 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과거 행태로 볼 때 이같은 위협이 빈 말 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북한이 당.정.사회단체 긴급 연합회의의 결정사항을 공개, 북한 스스로발을 빼기 어려운 상황을 만들어 놓았다는 것이다.

한 북한 전문가는 지난 83년 아웅산 테러 사건도 여러 차례 실패로 끝난 대남공작을 일거에 만회하려는 강경파의 소행에서 비롯됐던 것 이라며, 이번 잠수함 침투사건의 실패로 곤경에 빠진북한이 또다른 도발을 자행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북한의 향후 동태를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