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종합유통단지 입주업체에 지원하는 정부의 유통근대화자금이 쥐꼬리인데다 신청창구마저 지역업체와는 금융거래가 별로 없는 서울의 특정시중은행을지정,담보력이 미흡한 지역업체들이 사실상 이자금을 이용할수없어 반발을 사고있다.16일 관련업계에 의하면 15만평에 2천1백45개업체가 입주예정인 대구시북구산격동 종합유통단지 1차년도 건축용시설자금으로 통산부가 1백10억원을 배정,업체당 평균 배정액이 5백여만원에 그쳐 생색내기에 그치고 있다는것.게다가 통산부가 지역실정을 고려않고 융자신청창구에 입주예정업체의 90이상이 금융거래를 하고있는 지역은행을 제외한채 서울은행만을 지정,지역유통근대화를 위한 정부재정자금이 '그림의 떡'이 되고있다.
55개업체가 1만7천여평에 입주예정인 대구철강유통조합의 박정무이사장은 "통산부에서 업체당 융자한도를 전체건축비의 30%이내로 제한하고있어 이 자금을 받기위해 분양받은 대지나 기타물건을 담보로 제공하면 담보여력이 충분한데도 불구, 거래하고 있지 않는 타은행에서 2순위담보를 인정해주지않아 담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수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거래하고있는 지방은행에서 이 자금을 취급하면 평소거래실적을 바탕으로한 신용과 담보여력을 인정받아 정부지원자금 30%를 포함,전체담보의 80까지 일반시설재 대출명목으로 융자를 받을수있어 융자지원창구에 지방은행을포함하는 조치가 절실하다는 것.〈지국현기자〉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