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허바드 미국무부부차관보가 지난달 25일 아메리칸대학의 한 세미나에서 [미국은 한국이 국가보안법을 폐지하기를 여전히 희망한다]고 말한 사실이알려지면서 정부와 정치권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청와대는 [그의 개인 견해일뿐]이라면서도 파문의 확산을 우려하는 분위기이며 민자당은 [국내법에 대한 입장표명은 매우 유감], 민주당은 [인권차원의관심으로 환영]이라는 상반된 시각차를 드러냈다.
0---청와대의 한 고위관계자는 2일 [허바드부차관보의 그같은 발언은 그의 개인적 견해일뿐 미국정부의 공식입장은 아닌 것으로 안다]고 그 의미를 축소.이 관계자는 그러나 [미국무부 고위관리가 이처럼 공개된 자리에서 우리의보안법문제를 거론한 것은 처음]이라면서 [미국이 보안법으로 인한 인권침해부분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갖고 있다는 점을 알리고 싶었던 것 같다]고 지적.0---정부는 일단 허바드부차관보의 발언을 개인적 차원의 견해로 평가절하하면서도 미국측의 분명한 입장이 무엇인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한승주외무장관은 2일 국회외무통일위답변에서 [미정부는 보안법문제에 대한견해를 공식적으로 우리 정부에 전달한 적이 없다]며 [그 의도와 배경을 알아보겠다]고 답변했다.
0---민자당은 이 문제가 미국의 한 관리에 의해 뚱딴지처럼 갑자기 제기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불쾌하게 생각하고 있는 듯하다. 특히 이 문제는 이번 임시국회에서 야당조차도 거론을 회피한 사항이어서 더 기분이 상한 표정이다.김종비대표는 [북한에는 보안법보다 더한 법이 엄연히 있고 인권침해가 극심하데 거기에 대해서는 왜 언급을 하지 않느냐]고 불만을 표시했고 하순봉대변인은 [보안법은 어디까지나 국내법상의 문제이고 미국이 왈가왈부할 성질은아니다]며 유감을 표시할 정도이다.
이에 비해 평소 보안법철폐를 주장해 왔던 민주당은 지원병을 얻은듯 환영하는 분위기를 보이고 있다.
박지원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허바드부차관보의 이같은 의견을 환영한다]면서 [이는 내정간섭차원이 아니라 인권신장차원에서 보아야 한다]고 언급하고[이를 계기로 정부는 민주당이 그동안 줄기차게 주장해온 보안법개폐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