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금' 어디에 사용했을까…대부분 생활비로, 일부는 고가 전자제품 구매도

입력 2021-09-28 16:42:50 수정 2021-09-28 17:26:43

'깡'이라 불리는 현금화 시도도 많아

전 국민의 약 88%가 1인당 25만원씩 받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재난지원금) 지급 절차가 내달 6일부터 시작된다. 사진은 지난달 30일 서울의 한 시장. 연합뉴스
전 국민의 약 88%가 1인당 25만원씩 받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재난지원금) 지급 절차가 내달 6일부터 시작된다. 사진은 지난달 30일 서울의 한 시장. 연합뉴스

대구시민들은 대부분의 재난지원금을 생활비와 외식비로 썼으며 일부는 고가의 전자제품을 구입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13일 5일간 대구은행BC카드를 통해 사용된 국민지원금 사용내역을 살펴보면 일반휴게음식점 업종에 사용한 경우가 22.7%였고, 슈퍼마켓과 편의점 등 소형 소매점에 쓴 것이 22.3%로 집계됐다. 그 뒤를 이어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사용한 경우가 9.9%, 주유소 등 연료구입비가 6.8%로 집계됐다.

집계된 사용내역을 보면 재난지원금을 받은 시민들 대부분은 식비와 생활비로 지출했음을 알 수 있다. A(67) 씨는 "재난지원금이 들어온 다음 3분의 1은 점심값으로, 3분의 1은 동네 슈퍼에서 담배나 술 사는 데 쓰고 나머지는 병원비와 약값으로 쓰니 한 달 만에 딱 떨어지더라"고 말했다.

주부 B(50) 씨는 "추석 제수용품 살 때 카드 받는 곳에는 재난지원금을 쓰니 차례상 비용 부담이 조금 덜어지기는 했다"며 "남편이 받은 재난지원금은 우리 부부 생활비에 보태기로 했다"고 말했다.

20, 30대들은 스마트워치와 같은 고가의 소형 전자제품을 편의점에서 구입하는 데 쓰기도 했다. 일부 편의점 브랜드가 삼성전자의 스마트워치인 '갤럭시워치4'와 블루투스 이어폰인 '갤럭시 버즈2'를 매장에 주문하면 받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 판매를 시작했다. 그러자 첨단 기기를 선호하는 20, 30대들이 편의점에서 재난지원금을 쓸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수십만원에 달하는 스마트워치를 장만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C(29) 씨는 "가족과 함께 살다 보니 생활비에 보태기도 애매해서 이번 기회에 스마트워치를 장만하는 데 쓰기로 했다"며 "편의점에서 주문할 수 있다고 해서 알아보고 있는 중"이라고 했다.

하지만 '고가 전자제품을 구매하는 게 재난지원금 지원 취지에 맞는 것인가'를 두고 네티즌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 네티즌은 인터넷 커뮤니티에 "당장 어려운 서민과 소상공인 사이의 경제적 선순환을 위해 재난지원금을 주는 것이니 전자제품보다는 동네의 어려운 소상공인을 이용하는 게 맞다"고 했고, 다른 네티즌은 "편의점 점주도 소상공인이니 편의점에서 전자제품을 구매하면 결국 소상공인에게도 일정 부분 이득이 되는 부분도 있으니 괜찮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심지어는 소위 '깡'이라 불리는 현금화를 시도하는 경우도 많았다. 인터넷 검색창에 '재난지원금 ㅎㄱㅎ'라고 입력하면 재난지원금을 현금화하려는 사람들의 질문과 현금화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사이트들이 검색됐다. D(28) 씨는 "어차피 외식 아니면 쓸 데도 없는데 현금화해서 저축하는 게 나을 것 같아서 알아본 적은 있다"고 말했다.

재난지원금을 현금화하는 행위는 불법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급목적과 다르게 재판매나 현금화하는 경우 지원금 지급 전부나 일부를 환수할 수 있고 해당 법률에 따라 징역 최대 5년, 최대 5천만원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원금이 본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시민들의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