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지역 내 외국인 관광 유인책 부족"
대구국제공항을 통해 지역을 찾는 외국인 비중이 다른 공항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항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내 외국인을 이끌만한 관광 컨텐츠나 정주 여건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대구공항 외국인 출입국자 수는 2023년 31만8천459명에서 지난해 38만4천453명, 올해 9월까지 38만9천544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대구공항 전체 이용객 중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국내 주요 공항에 비해 눈에 띄게 적었다. 대구공항 이용객 가운데 외국인 이용객 비중은 2023년 39.4%에서 지난해 48.0%, 올해 9월까지 49.1% 수준이었다. 국내 공항 평균 외국인 비중이 ▷2023년 51.2% ▷2024년 55.4% ▷올해 55.9%인 점을 감안하면 낮은 수치다.
이를 두고 대구공항을 통해 해외나 제주도로 나가는 내국인 수요에 비해 대구를 찾는 외국인 수요가 적고 수도권으로 쏠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구공항은 내·외국인 구분 없이 이용률 활성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지역 특성상 '인바운드(외국인 국내여행)'보다는 '아웃바운드(한국 국민의 해외여행)' 수요가 크다고 분석하고 있다.
대구공항 관계자는 "인바운드 여행업계 육성을 위한 여행사 간담회, 신규취항 항공사 인센티브 집행, 지역 대표축제 홍보물품 배포 등을 통해 외국인 이용객을 늘리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며 "다만 김해공항이나 제주공항 등과 비교해서 대구 안에 외국인을 이끌만한 관광 컨텐츠가 부족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역 공항을 활성화하고 외국인 이용객 비중을 늘리려면 대구 내 관광과 일자리 기반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허창덕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외국인의 대구 방문 목적에 따라 대응책을 세워야 하는데, 크게 관광, 일자리, 유학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광과 일자리의 경우 대구에 외국인 수요가 있을 만한 컨텐츠가 부족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다면 유학생을 겨냥하는 방법이 있는데, 대구의 경우 학비와 생활비가 서울이나 다른 관광 특화 도시보다 싼 점이 유인책이 될 수 있다"며 "대구공항을 통한 외국인 유입 및 유치를 위해서는 외국인이 일 하고 공부하며 살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전제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