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진 경북도의원, 장애학생 행동중재 전문인력 확대 촉구

입력 2025-11-20 15:56:01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특수교육 현장 문제행동 증가, 전문 인력 부족 심각
경북교육청, 연수·프로그램 확대 계획 밝혀

경상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조용진 부위원장. 경북도의회 제공
경상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조용진 부위원장. 경북도의회 제공

경상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조용진(김천) 부위원장은 19일 열린 경상북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애학생의 도전행동 중재를 위한 ABA(응용행동분석) 기반 행동중재 전문가 양성 지원 확대를 강하게 촉구했다.

조 부위원장은 "특수교육 현장에서 문제행동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담당할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경북 특수교육 현장에는 행동중재전문가 3명, 연수 이수자 48명이 활동 중이나, 도내 전체 학교 수요에 비해 매우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행동중재전문가 양성을 위해 필요한 ▷석사학위 ▷1천500시간 실습 ▷75시간 슈퍼비전 등 높은 자격 요건으로 인해 신규 전문가 배출이 사실상 어려운 구조라는 점도 문제로 제기됐다.

조 부위원장은 "연수·실습 과정 중 공무 출장과 휴직 제도가 있더라도 특수교원 정원 부족으로 인해 개인과 학교가 겪는 부담이 지나치다"며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청 차원의 공식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초등·중등특수 교과교육연구회 활동과 관련해 "경북 특수교사가 가장 많이 참여하는 조직임에도 ABA와 같은 핵심 전문역량 세미나가 거의 없다"며 "하계·동계 연수회에 ABA 소개 세션을 의무화하고 연구 주제 권장, 가점 부여 등 정책적 유도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조 부위원장은 "행동중재 전문가는 장애학생의 학교 적응을 실질적으로 높이는 핵심 인력"이라며 "경북교육청이 연수–실습–슈퍼비전–지도자 양성으로 이어지는 내부 순환형 양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대해 박현숙 경북교육청 정책국장은 "2026년까지 행동중재전문가 연수 누적 103명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연수비 지원, 해외 선진 사례 탐방 추진, 8개 특수학교 대상 행동중재 프로그램 확대(예산 1억5천만~2억5천만 원) 등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