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첫 유튜브 댓글 6천500개 중 악플은 몇 개?

입력 2025-11-20 10:12:41 수정 2025-11-20 11:49:4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유튜브 채널 평산책방TV에 출연한 문재인 전 대통령. 유튜브
유튜브 채널 평산책방TV에 출연한 문재인 전 대통령. 유튜브 '평산책방TV'

최근 유튜브를 시작한 문재인 전 대통령의 첫 영상이 공개된 직후부터 하루 동안 달린 댓글 6천여개를 전수조사한 결과 85%가 '악플'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퇴임한 전 대통령이 현 대통령 행세 한다고 해서 구경왔다" "잊혀지고 싶다더니 왜 또 나왔냐" 등의 반응이 주를 이뤘다.

지난 17일 오전 10시 유튜브 '평산책방TV' 채널엔 '시인이 된 아이들과 첫여름, 완주'라는 영상이 공개됐다. 문 전 대통령이 퇴임 후 경남 양산시 하북면에서 운영 중인 평산책방의 일상을 담은 이 영상에는 문 전 대통령이 탁현민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과 함께 책방을 찾고 청소년 시집을 소개하며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담겼다. 영상은 방송인 김어준이 운영하는 겸손방송국이 맡아 제작했다.

해당 영상은 공개 하루 만인 18일 오후 8시 기준 댓글과 대댓글을 합쳐 6천500여개가 쌓였다. 매일신문이 댓글을 전수분석한 결과 85%를 넘는 5천500개가 문 전 대통령을 향한 비판과 조롱, 풍자 등 부정적 댓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원과 격려, 책에 대한 반응 등 긍정적 댓글은 1천여 개뿐이었다.

유튜브 댓글은 '좋아요'라는 추천순으로 정렬해서 따로 볼 수 있다. 이 영상에서 가장 좋아요를 많이 얻은 댓글은 총 1천300개 좋아요를 받은 "덧글만 보러 왔으면 개추(추천)!!!"였다. 시청자들은 이곳을 '댓글 맛집'이라 부르며 영상은 중지하고 댓글만을 보러 몰려드는 '댓글 관광' 흐름까지 만들고 있었다.

시청자들은 "영상 정지 후 댓글만 보는 중" "여긴 댓글이 메인컨텐츠임" "댓글 구경 왔습니다" "영상 보러 온 사람 한 명도 없네" "댓글맛집 이라길래 왔습니다", "이 영상의 하이라이트는 댓글입니다" "욕 댓글 달려고 왔는데 댓글 구경하고 갑니다" "영상보다 댓글이 더 재밌는 채널 1위" "들어오자마자 영상정지 후 댓글감상 중" 등의 댓글을 달았다.

가장 많은 추천을 받은 상위 50개 댓글은 전부 부정적 반응의 댓글로 채워졌다. 문 전 대통령의 정책을 비판하는 내용과 과거 문 전 대통령이 했던 발언을 빗댄 풍자, 김정숙 여사를 향한 의혹 제기, 문 전 대통령의 정치적 행보 비난 등의 유형으로 뚜렷하게 나뉘었다.

그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은 재임 기간 정책 전반을 비판하는 반응이었다. "청년들은 이 인간 때문에 사다리 다 걷어 차였지" "부동산 다시 원 상태로 돌려주세요" "성실히 살던 사람들 벼락거지 만드시고 본인은 시세차익 야무지게 챙기셨어요" "갈라치기로 나라 미래 끝장낸 사람" "탈원전이 나라 전력 다 망쳐 놨다" "부동산 폭등이 그때 시작 아니었나" "최저임금 올려놓고 자영업자들 죽어났다" "탈원전·부동산·외교 3대 참사의 장본인" "자막으로라도 정책 실패 반성 좀 하시죠" 등 재임 시절을 되짚는 비판적 반응이 많았다.

퇴임 시 "잊혀지고 싶다"고 했던 문 전 대통령의 메시지를 겨냥한 풍자도 이어졌다. "잊혀지고 싶다더니 왜 또 나왔냐" "조용히 지낸다며 자꾸 왜 나와요?" "잊혀지는 게 싫은 스타일" "제발 조용히 좀 계세요 진심입니다" "잊혀질까 두려운 비겁한 사람! 댓글이 날 위로하네요" 와 같은 댓글이 반복적으로 등장했다.

문 전 대통령을 둘러싼 의혹을 언급하는 댓글도 빠지지 않았다. "김정숙 여사 옷값 특검" "관봉권 왜 수사 안 하냐" "김정은한테 준 usb에 뭐 있었나요?" "부산저축은행 특검 갈테니 조금만 기다리세요" 등 논란을 재소환하는 댓글도 연이어 달렸다.

반대로 적긴 했지만 유튜버 데뷔 소식을 반기는 긍정적 댓글도 일부 있었다. "영상의 잔잔한 분위기가 좋다" "남은 여생 하고 싶은 거 하시며 편히 지내세요" "이렇게나마 문프를 뵐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힐링되는 채널입니다" "추천 책 기대됩니다" 등의 댓글이 달렸다.

한편 평산책방TV는 매주 월요일 새 에피소드를 공개한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고정 출연해 책을 소개해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