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쏟아지는데…전기료 대책은 'OFF'

입력 2025-11-17 19:25:52 수정 2025-11-17 19:26:1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신한울 원전 1·2호기 연합뉴스
신한울 원전 1·2호기 연합뉴스

'동북아 인공지능(AI) 허브' 도약을 위한 데이터센터 건립이 본격 추진되는 가운데, 전력 공급 확대와 전기요금 안정화를 선제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막대한 전력을 소비하는 데이터센터 운영으로 에너지 공급 부담이 가중될 경우 AI 산업 경쟁력 확보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아시아 지역 데이터센터 운영업체 프린스턴디지털그룹(PDG)이 한국에 첫 데이터센터를 건설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블룸버그 통신은 란구 살가메 PDG 최고경영자(CEO)가 인터뷰에서 7억달러(약 1조200억원)를 투자해 인천에 48MW(메가와트)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계획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싱가포르, 일본, 인도 등에서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인 PDG는 향후 5년간 아시아에 총 250억달러(약 36조4천억원)를 투자해 데이터센터 용량을 현재 1.3GW(기가와트)에서 4GW로 확대할 계획이다. 그는 "미국에서는 AI 데이터센터 확장이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아시아의 큰 파도는 향후 5년 안에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문제는 전력 확보다. 제11차 전력수요기본계획 전망을 보면 오는 2038년까지 데이터센터 관련 전력 수요는 올해 대비 5.2배 늘어난 6.2GW(기가와트)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전력 생산과 더불어 송전망 구축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현재 대규모 데이터센터의 과반 이상이 수도권에 분포해 있는데, 전력 자립도가 떨어지는 탓에 장기리 송전망을 확충해야 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상향 조정으로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 발전사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에 더 많은 비용을 부담하면서 전기요금 인상 압력이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데이터센터의 분산을 통해 전력망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지역 산업계 한 관계자는 "AI시대 전력은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며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는 한편 전력망을 선제적으로 확충해야 한다. AI 인프라 확산으로 지역 균형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전력 자립도가 높은 경북 등으로 '분산에너지특구'를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